인터넷

올 하반기 IPv6 상용서비스 시작…미래부, IPv6 확산 로드맵 마련

이유지

[디지털데일리 이유지기자] 올 하반기부터 유무선인터넷, 웹사이트에서 무제한인터넷주소(IPv6) 상용 서비스가 시작될 전망이다. 삼성, 팬택 등 IPv6 지원 단말기도 올해 출시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올해를 IPv6 서비스 원년으로 정하고 네트워크와 서비스, 단말 전 구간에 IPv6를 본격 확산시키기 위한 로드맵을 26일 발표했다.

IPv6 주소는 기존 IPv4 고갈대응을 위해 국제인터넷표준화기구(IETF)에서 만든 주소로, 거의 무제한 할당이 가능하다. IPv4 주소는 43억개에 불과해 전세계 70억 인구도 수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더욱이 사물인터넷(IoT)이 성장하면서 2020년 500억대 디바이스가 인터넷에 연결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는 시점에서 IPv6로의 전환이 시급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미래부는 이제는 실질적인 IPv6 서비스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판단 아래 통신, 초고속인터넷(ISP), 컨텐츠(CSP) 부문 369개 사업자들의 IPv6 전환 현황 및 계획을 조사하고 협의를 거쳐 목표치와 일정을 설정했다.

로드맵에 따르면, 2014년 하반기에 SK텔레콤이 IPv6 기반 이동통신(LTE), SK브로드밴드가 초고속인터넷, 다음이 웹사이트 상용서비스를 개시한다.

주요 ISP(KT, SKT, SKB, LGU+)의 백본망은 2014년까지, 가입자망은 2017년까지 구축을 완료할 예정이다. 제조사(삼성, LG, 팬택)의 IPv6 지원 스마트폰은 2014년 하반기 상용서비스 시점에 맞춰 출시될 예정이다.

미래부는 2014년 하반기 상용서비스의 성공적 개시를 위해 웹사이트, CDN(콘텐츠전송네트워크) 상용화 지원 사업 추진과 동시에 민·관 상용화 지원 협의체를 구성 운영할 계획이다.

IPv6 도입 기업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기재부와 협의해 조세특례제한법 시행규칙을 개정, 2014년 3월 14일부터 신규 투자되는 IPv6 장비에 대해 소득세 또는 법인세 감면이 적용되도록 했다. 아울러 IPv6 연동망의 국제 전용회선을 신설해 무료로 제공할 예정이다.

또 공공부문 네트워크·웹사이트에서 IPv6 도입을 의무화해 민간부문으로 확산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 기술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전문교육(연 1200명), 기술컨설팅(연 20개사)을 비롯해 ‘IPv6 전환 종합지원센터’를 구축하기로 했다.

IPv6 기반의 네트워크‧보안 장비, 신규 서비스 개발도 지원해 국내 네트워크‧보안 산업 육성과 IPv6 투자를 촉진할 계획이다.

미래부 이진규 인터넷정책관은 “금년 하반기 IPv6 상용서비스가 개시되면 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국내 IPv6 이용률이 조만간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수준으로 상향될 것으로 본다”며, “이번 로드맵을 계기로 IPv6 전환이 앞당겨지고 인터넷·통신 장비와 사물인터넷 등 인터넷 신산업이 활성화되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유지 기자>yjlee@ddaily.co.kr

이유지
webmaster@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