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실내 위치인식 내비게이션 기술 개발
- 스마트폰 앱 활용, 5m 정밀도 제공하는 실내 위치인식 인프라 구축기술
[디지털데일리 이유지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김흥남)은 15일, 스마트폰 사용자들에게 실내외 환경에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인프라 구축 기술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이 기술은 스마트폰 앱(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해 건물 내부의 정보를 수집하고 DB를 자동으로 생성해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핵심기술은 ▲인프라정보 수집기술 ▲인프라정보 DB구축기술 ▲5m 정밀도 실내 위치인식 지원 기술 등으로, 실내에서도 정밀하게 위치를 인식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금까지 위성을 활용한 내비게이션의 경우 실외서만 위치 검색이 가능했다. 그러나 이 기술을 통해 향후 실내서도 위치를 찾을 수 있게 되면서 긴급구조 등에도 널리 활용될 전망이다.
현재 이 기술은 플랫폼 기술로 원천기술이지만 ETRI는 ITU(국제전기통신연합) 전권회의가 개최되는 기간동안 부산지역에서 한시적으로 시범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 기술은 GPS(위성항법장치) 기능이 아니라 스마트폰에 내장된 와이파이나 센서를 활용, 현재 자신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전체 지도에 표시해준다. 지도전문회사의 도움으로 중요 관심점(POI)을 입력한 뒤 현재의 위치와 내가 가고자 하는 곳의 방향을 정확히 알려주게 돼 있다.
연구진은 본 기술을 미래창조과학부의 ‘5m 정밀도의 증강현실 서비스 지원 위치기반서비스(LBS) 플랫폼 기술개발’ 과제 일환으로 개발했으며, 지난 3년동안 국내외 논문 30여편, 특허를 20여건 출원했다고 설명했다. 기술이전도 업체 두 곳에 진행해 상용화를 준비중이다. 아울러 해당 기술과 관련한 국제표준도 OMA(Open Mobile Alliance)를 통해 10여건 추진중이다.
이번 개발기술은 국토교통부에서 국민의 안전과 복지를 증진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수행하고 있는 ‘실내공간정보구축 및 활용서비스 사업’과 방송통신위원회에서 긴급구조요청자의 위치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지난해부터 수행하고 있는 ’위치기반서비스 플랫폼‘에도 적용되고 있다.
ETRI는 내비게이션 제조사는 물론, 실내위치 정보 서비스 사업자, 인터넷 포털업체, 쇼핑몰 업체 등에도 기술이전을 추가로 준비하고 있다.
박상준 ETRI 위치항법기술연구실장은 “연구개발 초기시점부터 사용자와 기업, 정부의 요구를 반영, 저비용으로 실내위치기반서비스가 가능한 기업 맞춤형 인프라 구축 기술로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가능하다 ”고 말했다.
아울러 ETRI는 한국통신학회와 공동으로 오는 27일부터 4일간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제5회 실내위치인식 및 실내 내비게이션 국제학회를 개최한다. 이 국제학회는 매년 전세계 300여명의 실내 위치인식 및 항법 전문가들이 참석한다.
<이유지 기자>yjlee@ddaily.co.kr
교보생명, SBI저축은행 인수… 9천억원에 2026년말까지 50%+1주 인수
2025-04-29 07:57:05“AI로 보안 차별화”...LGU+가 ‘익시가디언’ 전면에 내세운 이유는?
2025-04-29 06:00:005000만원 탈취 신고, SKT 해킹 관련 가능성 적어…스미싱 피해사례일듯
2025-04-28 18:12:46강호동 회장 “농협 전계열사, 올해 손익목표 달성해야” 독려… 1분기 종합경영분석회의 개최
2025-04-28 18:03:43'SKT 해킹' 조사 결과 언제쯤? 개인정보위원장 "1년 이상 걸릴 수도"
2025-04-28 17:5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