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트룩스, 한국어 능통한 인공지능 개발
1일 솔트룩스(www.saltlux.com 대표 이경일)는 한국어를 포함한 인간 언어를 이해하고 학습, 추론함으로 스스로 진화 가능한 인공지능 ‘아담(ADAM)’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아담은 인터넷과 대규모 빅데이터로부터 스스로 정보를 수집하고 글을 읽어 그 의미를 이해하며, 지식을 자동 축적하고 복잡한 추론을 수행함으로 난해한 질문에 답변이 가능한 차세대 인공지능 시스템이다.
아담은 이미 도서 50만 권 분량의 지식을 학습해 왔으며, 2300만 가지의 주제에 대해 2억개 이상의 단위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 사람이 책을 읽어 학습하려면 2000년이 걸리는 지식을 아담은 3일 만에 스스로 학습해 낼 수 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주장이다.
또한 아담은 IBM 왓슨 컴퓨터가 사용한 슈퍼컴퓨터가 아닌 일반 서버 클라우드에서 초당 70만개의 단위지식의 추론과 초당 1600회의 질의 처리가 가능하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질의·응답 시스템과 통합해 올여름 국내 유명 퀴즈대회에서 인간과 경쟁할 예정이며 우승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솔트룩스 측은 밝혔다. 아담은 이미 장학퀴즈와 같은 퀴즈쇼 질문의 94% 정답을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담은 지난 20년간 솔트룩스가 연구해온 인간 언어처리와 기계학습(딥러닝), 자동추론 등의 인공지능 기술과 국내 대표적 인공지능 연구과제인 엑소브레인(Exobrain) 기술의 융합을 통해 탄생했다. 미래창조과학부가 2013년부터 지원하는 엑소브레인 연구사업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솔트룩스가 각 세부과제 책임을 지고 있으며, 인간처럼 학습하고 생각하는 차세대 인공지능 기술의 개발과 글로벌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카이스트와 숭실대, 서울대, 경북대, 서울시립대 등 국내의 20여 인공지능 교수들과 공동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이를 통해 50건 이상의 국내외 원천특허와 SCI급 세계적 학회지 30건을 포함해 120건의 인공지능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솔트룩스 이경일 대표는 “인공두뇌 아담은 이미 왓슨 컴퓨터와 울프럼 알파 등 세계적 인공지능과 경쟁을 시작했으며, 올 상반기 상용 플랫폼을 개방함으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라며 “조만간 스마트폰과 스마트 시계, 다양한 IoT 단말기가 아담과 연결돼 사람들에게 놀라운 경험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5000만원 탈취 신고, SKT 해킹 관련 가능성 적어…스미싱 피해사례일듯
2025-04-28 18:12:46강호동 회장 “농협 전계열사, 올해 손익목표 달성해야” 독려… 1분기 종합경영분석회의 개최
2025-04-28 18:03:43'SKT 해킹' 조사 결과 언제쯤? 개인정보위원장 "1년 이상 걸릴 수도"
2025-04-28 17:54:34국회 예결소위, '지역화폐 1조원' 추경안 민주당 주도로 통과… 국민의힘 반발
2025-04-28 17:42:33‘2025년 RE100 기술 전략 컨퍼런스’ 6월 10일 개최
2025-04-28 17:3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