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최양희 장관 “디지털교육 시장 무궁무진…규제개선 커튼 열렸다”

최민지

-최양희 미래부 장관, 위두커뮤니케이션즈 방문…현장 의견 청취

[디지털데일리 최민지 기자] “교육이 ICT 및 클라우드 등과 결합하게 되면 글로벌 진출 등 시장 가능성은 무궁무진해진다. 이러한 시장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으며, 규제 개선의 커튼이 열리고 있다.”

31일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교육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업체인 위두커뮤니케이션즈를 방문해 개발자들을 격려하고 규제개선 관련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했다.

이번 현장방문은 지난 18일 열린 ‘제5차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발표한 클라우드컴퓨팅 규제개선에 대한 후속조치의 일환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규제개선으로 향후 금융·의료·교육 등 주요 서비스 분야에서도 클라우드 컴퓨팅 이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관련 분야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의 현장 체감도 및 추가 규제개선 건의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

이날 최 장관은 “기존에 ICT 관점에서 교육사업은 네트워크 및 인프라 구축 관련해 불편한 점이 많았지만, 클라우드를 사용하게 되면 훨씬 편해지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며 “도서관의 경우 클라우드로 운영해 학교들과 연결한다면 도서 대출 및 교환 등 다양한 질 좋은 서비스를 싼 값에 사용할 수 있고, 전문 직원을 채용할 필요도 없어 인건비도 절감 가능하다”고 말했다.

특히, 최 장관은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국면한 우리나라의 현재 상황을 언급하면서 디지털 교육을 활용해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최 장관은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서 국민들이 체감하는 교육 문제는 심각하며, 국가 차원의 비범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핀란드의 교육 목표는 한 사람의 낙오자가 생기지 않도록 모든 시민을 훌륭하게 교육시키자는 것인데, 우리나라에서 이를 가능케 하려면 다양한 교육을 값싸게 제공해야 한다”며 “교육과 ICT의 융합을 통해 이뤄낼 수 있으며, 하나의 산업과 시장을 형성하고 생태계를 만들면 비즈니스 규모도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참석자들은 창의적 교육과 관련 기업의 생존을 위해 디지털화된 교육정책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위해 디지털 교과서 도입 및 정보 공개 등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들을 개진했다.

김진숙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본부장은 국가 차원에서 정보전략설계를 올해 수립해 단계별로 완성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본부장은 “정보전략설계를 올해 수립해 국가 주관으로 무선 인프라 고도화 및 디지털 교과서를 통한 콘텐츠 유통 구조를 구축해야 한다”며 “규제라는 못을 뽑아내고 전략과제를 도출하게 되면, 민간사업자들은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또, 김 본부장은 다문화가정·장애인 등 소외계층을 위해 맞춤형 교육이 적용돼야 한다는 의견도 내놨다. 이를 위해 머신러닝을 한 챗봇이나 코타나를 이들 가정에 적용하게 되면 스스로 학습을 지원하고, 유용하고 선도적인 학습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

이규하 위두커뮤니케이션즈 대표는 디지털교과서의 주도권을 잃어가는 현 상황의 심각성을 지적하며, 이를 타개하기 위해 데이터 공개와 학교 현장에서의 클라우드 서비스 활성화를 이뤄야 한다고 밝혔다. 또, 국가 주도 디지털 교육 사업을 민간 주도로 변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대표는 “우리나라가 디지털 교과서 국제표준을 주도해 왔는데, 이제 중국에서 이를 선제적으로 가져가려는 상황”이라며 “퀀텀점프를 해야 하는 상황에도 시장과 산업이 창출되지 않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이 대표는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에서 개인 식별정보를 제외한 데이터를 공개한다면, 이를 연구하고 활용해 인공지능 및 딥러닝까지 갈 수 있는 서비스를 내놓을 수 있을 것”이라며 “학교 현장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성화하고, 정부 주도 사업에서 민간 기업 위주로 변화해 다양한 서비스가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위두커뮤니케이션즈는 2003년에 설립된 교육 소프트웨어 개발 및 이러닝·직업교육훈련 서비스 전문회사로, 현재 국가 디지털 교과서 제작 사업 및 이러닝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미래부는 이번 현장방문을 통해 수렴된 의견을 향후 클라우드 활성화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다. 또, 공감대 형성을 위해 교육부 등 다양한 부처 및 당사자들과 대화를 지속하겠다는 방침이다.

최 장관은 “이번 규제개선을 통해 평생교육, 사이버대학, 직업교육 등 교육 분야에서 클라우드컴퓨팅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국내 클라우드컴퓨팅 산업이 활성화되고 성장할 수 있는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신기술에 대한 규제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최민지
cmj@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