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인프라

KINX, T-SDN 기반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전송망 가상화 추진

백지영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케이아이엔엑스(www.kinx.co.kr 대표 이선영, 이하 KINX)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T-SDN 기술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간 전송망 가상화를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KINX는 지난 2014년부터 ETRI 주관 ‘스마트 네트워킹 핵심기술 개발’ 사업에 공동 연구기관으로 참여하며 T-SDN을 비롯한 네트워크 가상화(NFV) 기술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 왔다는 설명이다.

T-SDN은 ETRI와 관련 기업이 SDN(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표준화 및 시장 활성화를 위해 개발한 광전송 SDN 기술이다. 전국의 통신사업자망을 연결하는 T-SDN은 국내표준 기술로 제정돼 향후 SDN 관련 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INX는 T-SDN 기술을 통해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간 전송망을 가상화하는 작업을 추진한다. 기존에 운영 중인 IX(인터넷 회선 연동) 서비스에 T-SDN 기술을 적용해 CX(클라우드 익스체인지)로 확대 발전시킬 방침이다.

회사 측은 “기존 IX에서는 패킷 전송 경로가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간 트래픽을 유연하게 처리하는 데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며 “반면 T-SDN 기술을 적용하면 상황에 맞는 설정을 통해 물리적 패킷을 가변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효율적인 망 운영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간 트래픽 전송 속도가 개선되고 레이턴시(지연 시간)가 줄어 멀티클라우드 환경의 네트워크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향후 NFV 기술이 보편화되면 디도스 방어, 방화벽, VPN(가상사설망), IDS/IPS(침입탐지/방지시스템) 등의 서비스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계획이다.

이선영 KINX 대표는 “멀티클라우드 시대에 대비해 보다 고도화된 인프라 및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국내 표준인 T-SDN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라며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간 트래픽 전송이 활발해질수록 T-SDN 기반 전송망의 역할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백지영
jyp@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