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본연의 역할 충실” 삼성, 고강도 쇄신안…재계 전반에 후폭풍
[디지털데일리 이수환기자] 삼성그룹이 28일 발표한 쇄신안은 정경유착 의혹에 사회적 책임을 지고 기업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각 계열사의 자율경영과 함께 의사결정 구조자체의 근본적인 변화를 통해 ‘최순실 게이트’와 같은 정경유착 가능성을 원천 봉쇄하겠다는 것이다 .
이날 특검이 이재용 부회장 등 삼성 관계자 5명을 일괄 기소했기 때문에 미래전략실장인 최지성 부회장, 실차장 장충기 사장, 그리고 박상진 사장(대한승마협회 회장)이 모두 사임했다.
비서실로 출발해 구조조정본부, 전략기획실 등으로 이름을 바꿔온 미래전략실(이하 '미전실')은 전략팀, 기획팀, 인사지원팀, 법무팀, 커뮤니케이션팀, 경영진단팀, 금융일류화지원팀 등으로 이뤄져 있다. 소속 임직원만 해도 200여명에 달한다. 이들은 미전실이 해체되면 원래 소속됐던 계열사로 복귀할 가능성이 높다.
미전실은 그동안 그룹 내의 현안과 각 계열사의 업무를 조정하는 역할을 맡았다. 정보를 취합해 경영진에게 보고하고 빠른 의사 결정을 가능케 한 원동력으로 평가받는다. 이해관계 조정이나 경영 전반에 걸쳐 윤활유 역할을 해왔으나 창업주 일가의 경영권 승계, 정경유착 의혹을 불러일으킨 조직이기도 하다.
미전실이 해체되면서 각 계열사는 대표이사와 이사회 중심 자율 경영을 실시하게 된다. 자연스럽게 매주 수요일에 이어졌던 그룹 사장단 회의도 사라진다. 대관업무 조직도 필요치 않게 됐다. 외부 출연금 및 기부금은 일정액 이상일 경우 이사회 또는 이사회 산하 위원회의 승인을 받도록 했다.
또한 삼성전자는 10억원 이상 후원금과 CSR기금 지출은 이사회 의결을 의무화했으며 외부에 공시도 한다. 사업보고서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도 수록하기로 했다.
지금까지 삼성전자는 기부금만 자기자본의 0.5%(약 6800억원) 이상(특수관계인 50억원 이상)인 경우만 이사회에서 결정했다. 경영의 투명성을 높이고 준법경영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인 셈이다.
◆삼성그룹, 주력 계열사 중심으로 재편될 듯 = 삼성은 미전실 해체 이후 그룹 현안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지 않았다. 일단 계열사의 자율 경영과 함께 이사회를 통한 후속 조치를 진행한다는 방침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주력 계열사인 ▲삼성전자 ▲삼성생명 ▲삼성물산을 중심으로 의사 결정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하는 모양새다. 순환출자 구조에서 이들 계열사는 서로의 지분과 다른 계열사에게 영향을 주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다만 여전히 중심축인 미전실의 부재는 ‘관리의 삼성’이라는 측면에서 불리한 측면이 있다. 인수합병(M&A)을 비롯해 경영권 승계가 마무리되지 않았기 때문에 특정 의사결정에 있어 추진 동력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아서다. 중장기 전략 수립과 함께 이전처럼 각 계열사의 일사불란한 움직임이 얼마나 유지될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한편 사장단 인사는 당장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부장급 직원 인사와 함께 삼성전자와 삼성SDI는 원포인트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관련하여 이날 삼성SDI 조남성 사장이 사임하고 신임 사내이사로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 전영현 사장이 내정됐다. 삼성전자는 공석이 된 메모리사업부장에 D램개발실장인 진교영 부사장을 임명했다. 사장단 인사가 남아 있는 상황에서 최대한 부담을 덜어 내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 부회장 의중실린 '쇄신안'...재계 전체에도 '불똥' 예상 = 이날 발표된 삼성의 쇄신안은 짧막하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여러가지측면에서 가지는 의미가 작지 않다. 비록 구속 상태지만 이재용 부회장의 의중이 강하게 실렸다는 분석이 많다.
쇄신안의 주요 내용들은 이미 며칠전부터 시장에 조금씩 흘러나왔다. 미전실의 해체는 앞서 지난 12월 국회 청문회에서 이 부회장이 국민들에게 약속했던 내용이다. 시기의 문제일뿐 예정된 수순이었다. 다만 아직 2017년 그룹 사장단 인사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미전실 해체가 전격적으로 이뤄졌다는 점에서는 삼성의 움직임이 예상보다 빠른 행보라는 게 시장의 평가다.
이날 쇄신안의 핵심은 역시 '미전실의 해체'다. 최지성 부회장, 장충기 사장의 사임, 대표이사와 이사회 중심의 자율 경영, 삼성그룹 사장단 회의 폐지 등은 사실상 미전실 해체에 따른 하나의 사안으로 봐야 한다.
그리고 미전실의 해체는 컨트롤타워 방식의 '총수' 중심 의사결정체제를 운영하고 있는 여타 대기업들에도 일정 부분 영향이 미칠 것이란 분석이다. 최순실 게이트가 불거진 이후 최근까지 국내 현대차, LG, SK 등 4대 그룹이 모두 전경련 탈퇴를 선언했다. 이번 삼성과 같은 고강도의 쇄신안은 아니더라도 여타 대기업들도 정경유착의 가능성과 단절하기위한 혁신안을 내놓을 것이란 예상이다.
특히 이번 쇄신안에 포함된 '대관업무 조직의 해체'는 삼성 내부뿐만 아니라 재계 전체에 파장을 던지는 사안으로 평가된다. 삼성측의 입장에선 대관조직 자체를 없애버림으로써 정경유착의 빌미를 원천 봉쇄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그러나 정부와 국회를 대상으로 한 대관업무는 현재 국내 대기업들의 경영 관행상 당장 변화를 주기에는 매우 예민한 사안이다. 삼성이 대관업무를 없앨경우 후폭풍이 국내 재계 전체로 확산될 수 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수환 기자>shulee@ddaily.co.kr
결국 손보에서 갈린 1분기 리딩금융 순위… 신한·하나금융, '약한 고리' 해법 고심
2025-04-30 06:00:00이해진 네이버 의장, 트럼프 주니어와 30일 만난다… AI 기술 협력 논의하나
2025-04-29 19:05:59IPX, ‘서울스프링페스타’ 참여…명동부터 타임스퀘어까지 라인프렌즈 알린다
2025-04-29 17:36:00'SKT 유심 해킹' 불안 증폭… 금융 당국, 30일 오전 비상대응회의 개최
2025-04-29 17:35:17게임산업 위기론 고조…조영기 게임산업협회장 역량 ‘시험대’
2025-04-29 17:3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