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효성)와 금융감독원(원장 김기식)·경찰청(청장 이철성)은 최근 보이스피싱 피해의 증가에 따라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와 이동통신3사·알뜰통신 사업자 36개사와의 협력을 통해 오는 16일부터 총 5363만 명을 대상으로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메시지’를 발송한다고 15일 밝혔다.
최근 검찰‧경찰‧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해 자금을 편취하는 보이스피싱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정부기관 사칭 보이스피싱의 건당 피해금액은 807만원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하였다.
검찰을 사칭하여 피해자 통장이 대포통장으로 이용됐다고 접근해 1억원을 편취한 사례도 있어 국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보이스피싱과 관련된 보다 자세한 정보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운영하는 방송통신이용자정보포털 ‘와이즈유저’ 또는 금융감독원의 ‘보이스피싱지킴이’에서 얻을 수 있다.
와이즈유저에서는 보이스피싱 외에도 피싱·스미싱 등 새로운 유형의 통신범죄에 대한 피해예방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시·청각장애인, 장노년층, 다문화가정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도 제공한다.
보이스피싱지킴이에서는 피해 예방을 위한 보이스피싱 체험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피해발생 때 신고 가능한 전화번호와 사이트 및 피해환급절차를 안내하고 있다.
정부기관은 어떠한 경우에도 자금이체를 요구하지 않으며, 수상한 낯선 전화는 일단 끊은 뒤 반드시 해당 기관에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만약 사기범이 알려준 계좌로 돈을 송금한 경우, 신속히 경찰서나 해당 금융회사에 지급정지를 신청해 피해구제를 받아야 한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효성)와 금융감독원(원장 김기식)·경찰청(청장 이철성)은 최근 보이스피싱 피해의 증가에 따라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와 이동통신3사·알뜰통신 사업자 36개사와의 협력을 통해 오는 16일부터 총 5363만 명을 대상으로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메시지’를 발송한다고 15일 밝혔다.
최근 검찰‧경찰‧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해 자금을 편취하는 보이스피싱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정부기관 사칭 보이스피싱의 건당 피해금액은 807만원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하였다.
검찰을 사칭하여 피해자 통장이 대포통장으로 이용됐다고 접근해 1억원을 편취한 사례도 있어 국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보이스피싱과 관련된 보다 자세한 정보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운영하는 방송통신이용자정보포털 ‘와이즈유저’ 또는 금융감독원의 ‘보이스피싱지킴이’에서 얻을 수 있다.
와이즈유저에서는 보이스피싱 외에도 피싱·스미싱 등 새로운 유형의 통신범죄에 대한 피해예방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시·청각장애인, 장노년층, 다문화가정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도 제공한다.
보이스피싱지킴이에서는 피해 예방을 위한 보이스피싱 체험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피해발생 때 신고 가능한 전화번호와 사이트 및 피해환급절차를 안내하고 있다.
정부기관은 어떠한 경우에도 자금이체를 요구하지 않으며, 수상한 낯선 전화는 일단 끊은 뒤 반드시 해당 기관에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만약 사기범이 알려준 계좌로 돈을 송금한 경우, 신속히 경찰서나 해당 금융회사에 지급정지를 신청해 피해구제를 받아야 한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