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금융감독원이 14일 2017년 은행과 증권회사의 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FDS) 운영을 통한 사고 예방 실적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Fraud Detection System)이란 전자금융거래에서 생성되는 접속정보, 거래내역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 이상금융거래를 탐지 및 차단하는 시스템으로 은행(20개사)과 증권회사(26개사)는 2014년부터 구축‧운영 중이다.
총 사고예방 건수 및 금액은 3665건, 445.8억원이며, 1개사 기준으로는 연평균 79.6건, 9.7억원의 예방 효과가 있었다.
은행의 사고예방 건수 및 금액은 3588건, 429.7억원으로 1개사 기준 연평균 179.4건, 21.5억원의 예방 효과가 있었으나 증권회사는 사고예방 건수 및 금액이 77건, 16.1억원으로 업종 특성이 계좌이체 등이 많은 은행과 달라 예방 실적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탐지 정확도 측면에서는 평균 예방률 95.4%, 미탐률 2.3%, 탐지후 사고율은 2.3% 수준으로 이상금융거래 시도에 대해 효과적으로 차단 및 예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금융거래정보 공유시스템(금융보안원 운영)을 통해 금융회사 간 탐지정보 공유 및 사고예방 실적을 분석한 결과 정보공유 건수는 956건이고, 이를 통해 사고를 예방한 금액은 198.6억원으로 전체 사고예방 금액(445.8억원) 대비 44.5%를 차지했다.
한편 금감원은 향후 FDS 운영을 통한 사고예방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신종 사고유형 탐지 강화를 위한 FDS 고도화를 유도하는 한편, FDS 운영 관련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고 이상금융거래정보를 적극적으로 공유하는 금융회사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이상금융거래정보 공유 활성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