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개인정보 유출 기업 과징금··· 이대로 괜찮나
인터파크는 2016년 5월 해킹 공격을 당해 고객 1,030만여 명의 개인정보 2,540만여 건이 외부로 유출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방통위는 인터파크의 후속 조치 및 보안이 미흡했다는 이유로 44억 8,000만원의 과징금과 2,5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하라는 시정명령을 내렸다.
이에 불복한 인터파크는 행정소송을 냈지만 1심과 2심에서 모두 패소했고, 대법원은 해당 사건을 ‘심리불속행’으로 기각해 방통위 처분이 확정됐다. 심리불속행 기각은 시사점이 적은 사건일 경우 대법원이 심리하지 않고 곧바로 상고기각을 할 수 있는 제도이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생긴다. 당초 인터파크에 부여된 과징금은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대한 접근통제 미비 ▲시스템 비밀번호 관리 소홀 등을 근거로 책정됐다. 하지만 실제 해킹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은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최대 접속 시간제한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시스템 비밀번호 관리 소홀은 개인정보유출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재판부는 “유출사고가 난 이상 이것과 법위반행위 사이의 인과관계가 입증되지 않았더라도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정작 피해자들은 인터파크에 손해배상을 받지 못하게 될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 민법상 손해배상의 경우 ‘인과관계’를 입증해야 하는데, 행정소송에서 이를 입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작 피해자인 국민은 보상 못 받고 국가만 돈 챙긴다”는 볼멘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2540만건의 개인정보 유출로 45여억원의 과징금·과태료를 부과한 것이 과하다고는 할 수 없다. 해외에서는 이를 한참 뛰어넘는 사례가 드물지 않게 있다. 또 해당 건에 대해 손해배상청구가 진행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최대치는 이를 한참 뛰어넘는다. 문제가 있다면 ‘절차’다.
개인정보 유출로 피해를 본 국민이 바라는 것은 ‘개인정보 관리를 소홀히 한 기업에게 막대한 과징금을 책정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정보가 유·노출될 경우 직접적인 피해보상이 이뤄질 것’이다.
이런 시각으로 봤을 때, 과징금·과태료는 단순히 기업의 잘못을 질책하는 것에 그쳐선 안 된다. 조사권이 있는 국가가 해당 안건에 대해 자세히 들여다보고, 국민 개개인이 할 수 없는 입증 등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하다못해 손해배상을 할 수 없도록 하는 엉뚱한 방향으로 전개돼선 안 된다.
<이종현 기자>bell@ddaily.co.kr
SK그룹 최태원 증인 출석 의결…“해지 위약금 면제 확답 받아낼 것”
2025-04-30 16:05:14농협금융, 1분기 순이익 7140억원… 비은행 계열사 부진
2025-04-30 16:01:21이훈기 의원, "SKT 해킹 따른 '번호이동 위약금' 면제 검토 확답"
2025-04-30 15:55:20'관세 전쟁' 진정세?… 금융당국, 은행권의 RWA 규제 완화 요구 사실상 '거부'
2025-04-30 14:59:55국민은행, 외국인 고객 전용 해외송금 서비스 ‘KB Quick Send’ 출시
2025-04-30 14:5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