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루션

[데이터댐③] “댐에 모인 데이터 관리·활용할 ‘특구’ 만들자”

이종현
[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정부가 디지털 뉴딜의 일환으로 진행하는 ‘데이터 댐’ 구축이 진행되는 가운데 정치권에서는 데이터를 관리·활용할 특구를 지정하자는 안이 제기됐다. 정치권에서는 한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토론회를 개최하며 화두를 던졌다.

정부는 데이터 댐을 통해 공공기관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시장에 공개한다. 또 산업별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양질의 데이터까지 선별, 저장, 할용하는 빅데이터 플랫폼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수원(데이터)을 풀고 수질관리(데이터 가공)까지 한다는 것이다.

이 데이터 댐은 물리적 공간이 아니다. 한준호 의원이 제시한 데이터 특구는 물리적으로 데이터가 모이는 데이터센터를 특정 지역에 집중하자는 것이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국내 데이터 산업은 걸음마 단계”라고 말한다. 지난 5일 데이터3법(개인정보보호법·신용정보법·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이 통과됨으로써 데이터 유통의 물꼬가 트이게 됐다. 산업적 확산을 견인할 생태계 조성이 필요한 가운데 데이터 특구 지정이 데이터 산업의 퀀텀점프의 계기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와 같은 방향의 성공 사례도 있다. 싱가포르는 2013년 ‘데이터센터 파크(DCP)’라는 데이터센터 특구를 추진했다. 데이터센터 정보 사이트인 Baxtel에 따르면 부산시보다 작은 면적의 싱가포르에 현재 67개의 데이터센터가 유치됐다. 한국의 데이터센터는 21개로 나타난다.

물리적인 데이터센터의 밀집은 해당 산업의 성장과 연결된다. 싱가포르는 기업, 데이터 친화적인 정책으로 세계에서 손꼽히는 디지털화를 이뤄냈다. 시스코 시스템즈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중소기업의 디지털 성숙도 조사에서도 싱가포르는 1위를 기록했다.

국내도 데이터·클라우드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다. 데이터 특구는 산발적으로 성장세를 탄 산업군을 한 지역에 모아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의 의견이다.

정준화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은 “데이터센터 클러스터를 구축함으로써 기업 및 시설의 집적화, 인력 양성 및 공급 체계, 법률 서비스 및 인센티브 지원을 아우르는 공간이 조성된다면 데이터 산업은 극정인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피력했다.

정부의 디지털 뉴딜 정책은 데이터 산업 육성의 마중물 역할을 했다. 그 핵심은 데이터 댐이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한 단계 나아가 산업 발전에 속도를 낼 수 있는 데이터 특구를 고민해야 할 때라는 것이 한준호 의원 측 설명이다.

한준호 의원은 “미래 사회에서 데이터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다. 데이터가 없이는 인공지능(AI)도 없다. 활용할 수 있는 양질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사업이 ‘데이터 댐’”이라며 “구축될 데이터 댐을 담아낼 물리적 공간, 데이터센터의 밀집으로 산업을 더 효과적으로 키울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종현 기자>bell@ddaily.co.kr
이종현
bell@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