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삼성SDS는 지난해 국내외에서 발생한 보안 이슈와 현장의 여러 사례를 분석해 2021년 사이버보안 7대 트렌드를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삼성SDS는 ▲비대면 환경을 노린 위협 증가 ▲랜섬웨어 고도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해킹 지능화 ▲산업설비에 대한 위협 본격화 ▲개인정보 등 민감 데이터 보호 중요성 증대 ▲클라우드 대상 공격 증가 ▲의료 분야 집중 공격 등을 주요 키워드로 꼽았다.
상성SDS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원격근무가 확대되며 보안이 취약한 가정용 네트워크와 단말기를 통한 정보 해킹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임직원의 스마트폰·컴퓨터에 대한 공격은 물론이고, 메신저·영상회의 등 업무지원 시스템을 통한 정보유출을 방지하는 것이 기업 보안의 최우선 과제로 떠올랐다.
랜섬웨어는 기존 불특정 다수에 대한 공격에서 점자 특정 목표를 겨냥한 표적형으로 고도화되고 있다. 다양한 변종이 출현하고 있고 랜섬웨어를 서비스형(RaaS)으로 판매하는 사례가 발생하는 등 위협 강도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인공지능(AI) 기술은 공격과 방어, 양쪽 모두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AI 학습을 통해 대량의 해킹공격 성공률을 높이고 딥페이크를 이용한 정보왜곡 및 조작 위험성이 커지는 가운데, AI 기반 멀티미디어 위·변조 검출 및 자동탐지·분석 기술이 발전하면서 AI 기반 공격/방어 전선이 확대되고 있다.
지능형 시스템을 갖춘 스마트팩토리의 확산되고 사물인터넷(IoT), 5세대(G) 통신 도입으로 생산설비 및 제조공정의 보안 위협도 커지고 있다. 삼성SDS는 지난해 해외에서 발생한 자동차, 석유기업 대상 사이버 공격은 정보기술(IT)을 넘었다고 전했다. 운영기술(OT)과 산업제어시스템(ICS) 보안의 중요성을 각인시켰다.
국내에서는 데이터3법(개인정보보호법·신용정보법·정보통신망법) 개정과 마이데이터 사업 활성화에 따라 데이터 보호를 위한 기술과 솔루션이 부각되고 있다. 데이터 산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기존의 정보 암호화뿐 아니라 개인정보의 안전한 유통, 활용을 위한 비식별화 및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이 필수적이라는 것이 삼성SDS의 설명이다.
코로나19로 사회 전반에 클라우드가 확산되는 가운데 클라우드 시스템의 단순 사고가 대규모 접속장애 및 정보유출로 이어지고 있다. 클라우드 시스템만 전문적으로 공격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삼성SDS는 특히 대규모 시스템을 보유한 금융·공공 기관이 퍼블릭 클라우드를 이용할 경우 보안 설정 및 접속관리 등 철저한 보안 체계를 정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코로나19 관련 연구를 하는 의료기관·제약회사를 대상으로 의료시스템, 의료정보, 백신 자료 등을 노리는 해킹과 랜섬웨어 공격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시스템과 인프라부터 솔루션, 정책까지 모든 보안 체계를 꼼꼼하게 점검하고 체계적인 컨설팅으로 취약점 점검 및 대응 체계 수립이 요구된다.
삼성SDS 관계자는 “비대면 업무환경 확대, 디지털 전환 가속화, 데이터 산업 활성화 등에 따라 사이버 위협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기업의 철저한 보안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한편 삼성SDS는 오는 4월 ‘삼성SDS 사이버 시큐리티 컨퍼런스 2021’을 개최한다. 사이버보안 7대 트렌드, 사례 및 대응방안, 삼성SDS의 보안 솔루션/서비스 등을 공유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