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생체인증 안전한가?上] 전문가들 “다중인증 활용해야”
[디지털데일리 홍하나기자] 생체인증 기술은 차세대 인증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않고 인증할 수 있어 편의성이 뛰어나다. 많은 제조사들이 스마트폰 등 여러 디바이스에 생체인증 기술을 탑재하고 있다.
하지만 삼성전자 스마트폰 지문인식 오류 사건으로, 관련업계의 생체인증 활용에 대한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생체인증 기술을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다중요소인증(MFA)’ 방식을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중요소인증은 비밀번호, 패턴, 생체인증 등 여러 보안인증 기술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지문인식과 비밀번호, 얼굴인식과 비밀번호, 홍채인식과 패턴 등 두가지 이상의 보안인증을 설정해 사용할 수 있다.
이기혁 중앙대 교수는 “이제는 스마트폰에 모든 정보가 집중된 만큼,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두 가지 이상의 인증기술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보안성능인증 팀장도 “여러 인증기술을 사용해야 한다. 편의성이 떨어지지만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전했다.
지문인식은 가장 보편적이면서 편의성이 높다. 반면 사고율이 가장 높다. 생체인증 기술사고 가운데 약 80~90%가 지문인식 사고다. 이기혁 중앙대 교수는 “지문인식 기술은 생체인증 기술 가운데 가장 구현하기 쉬우며, 모듈도 가장 저렴하다”며 “많이 보급된 만큼 사고율도 높다”고 전했다.
또 지문인식 기술은 얼굴인식, 홍채인증 등 생체인증 기술 가운데 가장 정확도가 떨어진다고 전문가들은 말했다. 이상무 팀장은 “지문인식은 생체인증 기술 가운데 가장 정확도가 떨어져 보안성이 낮다”며 “손이나 땀에 물기가 있을 경우 인식오류가 생길 수 있다. 또 지문이 닳을 경우 인식을 하지 못하는 등의 한계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홍하나 기자>hhn0626@ddaily.co.kr
SKT 해킹시점 고쳐준 KISA? "소통 오류, 재발 없도록 보완"
2025-04-28 16:16:54“SKT 유심 공급, 내달 중순까지 어려워”…e심 사용 권고
2025-04-28 15:59:10유출 피해 없다지만…'SKT 해킹' 2차 피해 공포감↑
2025-04-28 15:20:45금융권, 6년간 횡령·배임 등 사고 '8500억원'규모… "은행권이 전체 절반"
2025-04-28 14:58:06iM뱅크, 서울 마곡금융센터 개점…"전국 영업망 확장 본격화"
2025-04-28 14:4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