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15주년/언택트⑬-보안] 양날의 검 'IoT'···보안 위협의 재인식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온라인 트래픽이 증가한 것에 비례해 이를 노린 사이버 위협도 급격히 늘었다. 디지털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 어느 때보다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이 높아진 상황이다. <디지털데일리> 창간 15주년 기획으로 ‘포스트 코로나’를 준비하며 언택트 시대에 요구되는 사이버 보안의 면모를 살펴본다. <편집자>
반면 네트워크 보안은 주변 환경의 통제다. 주변에 코로나19 감염자가 있는지 살피고, 확진자가 발생한 지역에 접근하지 않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일종의 격리를 통한 물리적 방역 방식이다.
IoT 보안 전문가는 “이상적인 것은 IoT 기기와 네트워크를 모두 보호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저가형 IoT 기기의 경우 보안 기능이 포함돼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정보기술(IT) 업계에서는 IoT 기술의 발달로 초연결 사회가 도래했다고 말한다. 모든 것이 연결됐다는 의미다. 이런 연결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순기능과, 안전을 위협하는 역기능을 모두 내포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로 정부가 ‘디지털 뉴딜’을 추진하며 5세대(G)와 언택트 서비스가 결합해 IoT 청사진이 그려지고 있다. 이 청사진에 보안에 대한 고민이 담겨야 한다.
<이종현 기자>bell@ddaily.co.kr
국회 예결소위, '지역화폐 1조원' 추경안 민주당 주도로 통과… 국민의힘 반발
2025-04-28 17:42:33‘2025년 RE100 기술 전략 컨퍼런스’ 6월 10일 개최
2025-04-28 17:36:18케이블TV 만난 정동영 “지역채널은 곧 지역공동체, 규제개선 시급”
2025-04-28 17:26:12이진숙 방통위원장, 미국 순방…FCC위원장·오픈AI CSO 만난다
2025-04-28 17:22:56[DD퇴근길] SKT, 유심교체 시작…매장 오픈런 이어 온라인도 북새통
2025-04-28 17:2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