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버전스

지능정보화 시대, 편익 얻을 수 있다면 개인정보 제공

채수웅
- 방통위, 지능정보서비스 이용자 사용경험 조사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지능정보사회가 고도화되면서 프라이버시 침해우려도 높아지는 가운데 다수의 이용자들은 편익을 얻을 수 있다면 개인정보를 제공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원장 권호열)은 지능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사용경험과 태도 등을 조사하는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의 2차 연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방통위는 만 17세~64세 이하 남녀 3753명(2227가구)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조사 실시했다.

지능정보사회 이용자들은 필수적인 서비스 이용을 위해 개인정보 활용을 스스로 허락해야 하는 역설적인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지능화된 서비스가 증가할수록 프라이버시 노출을 걱정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한 개인정보 활용에 동의함으로써 삶의 편의, 안전, 효율을 높이려 하는 현상이 극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프라이버시 노출에 대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 의사를 기준으로 프라이버시 역설집단에 속한 응답자(55.1%)가 가장 많았으며, 자유방임집단(33.5%)이 뒤를 이었다. 이는, 오늘날 미디어 환경에서 개인정보 노출에 대한 우려 여부를 떠나 개인정보를 제공하며 살 수밖에 없는 현실을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특히 역설 집단의 비중은 전년 대비 10%P 이상 증가한 반면, 무관심 집단은 크게 줄어든 것은 지능정보사회에서 개인정보 문제에 무관심한 채로 계속 살아가기 쉽지 않음을 짐작게 하는 대목이다.

개인정보보호 수준이 개선되었다고 생각하는 이용자는 52.4%로 전년대비 소폭 감소(5.9%P)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정보 데이터 관리 측면에서 가장 신뢰도가 높은 기관은 금융기관(64.4%)과 정부 및 공공기관(63.9%), 가장 낮은 기관은 온라인 쇼핑몰(53.4%)로 전년도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온라인상 이용 흔적이 남는 것이 두려워 이용을 자제한 경험으로 음성인식 시스템에 목소리를 남기는 것(43.4%)이 가장 많았고 SNS에 글․댓글을 남기는 것을 자제한 경험(43.2%)이 뒤를 이었다. 건강 등의 정보를 스마트밴드‧앱으로 체크하거나, 스마트워치에 운동량과 일정을 기록하는 것을 자제한 경험도 각각 전년대비 5.7%P 증가했다.

다만, 이용자들은 합당한 이유와 편익이 있다면 개인정보가 활용되는 것을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작업환경의 안전과 보안(69.3%), 공공기물 훼손 및 재난 예방(69%), 범죄예방(68.2%)을 위해 CCTV를 설치하는 것에 대해 특히 수용도가 높아, 안전과 재난예방시 부분적으로 프라이버시 침해를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인상점, 인공지능 번역기 등 15개 지능정보서비스를 대상으로 5년 내 상용화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상용화 가능성이 전년 대비 크게 나타났다. 특히 원격진료(2018년 62.7%→2019년 69.1%), 위험한 일을 대신하는 로봇(‘2018년 55.4%→2019년 64.8%)의 상용화 가능성이 전년과 같이 가장 크게 평가 받았다.

반면, 아기 돌봄 로봇(43.6%), 교육 로봇(45.9%), 노인 돌봄 로봇(50.7%) 등 사람의 손길이 필요한 영역에서의 지능정보서비스 도입 가능성의 경우 여전히 낮게 평가됐다.

상용화될 경우 응답자들이 가장 이용하고 싶어하는 지능정보서비스는 무인상점(2018년 70.0%→2019년 72.5%), 위험한 일을 대신하는 로봇(2018년 62.1%→2019년 68.9%) 순으로 조사됐다. 이는 비대면(untact) 소비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음을, 또 로봇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일터 안전과 관련해 노동의 위험을 낮추는 것을 우선시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OTT 등 동영상 서비스는 전체 응답자의 56.3%가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로는 유튜브(91.0%), 네이버 TV(37.8%), 카카오 TV(17.9%), 넷플릭스(14.9%), 아프리카 TV(11.5%) 순으로 조사됐다. OTT 등 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개인정보를 사업자가 수집하는 것에 대해 66.3%의 이용자가 우려를 표했으나, 더 나은 추천서비스를 받기 위해 취향 등 개인정보를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것에는 43.9%가 동의하고 22%가 반대했다.

디바이스 이용과 관련해서는 이동성 높은 디지털기기 사용이 증가했다. 데스크톱 컴퓨터는 전년 대비 사용률이 감소(2018년 51.6%→2019년 45.0%)한 반면, 노트북 컴퓨터 사용률은 전년 대비 증가(2018년 27.3%→2019년 30.2%)했다. 이외에도 태블릿PC(2018년 7.4%→2019년 8.1%), 스마트워치(2018년 .8%→2019년 2.2%)의 사용률도 전년 대비 소폭 증가(0.4%P)했다.

지능정보서비스에 대한 알권리, 설명요구권 등 이용자의 권리의식은 작년보다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용자들은 알고리즘이 선별한 뉴스의 선별 기준을 알 권리가 있다는 의견에 전년 대비 11.7%P가 늘어난 49.2%가 찬성했다. 또,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로 인한 피해나 불이익에 대한 설명요구권에 대해서도 찬성의견이 늘어나고(3.8%P) 반대의견은 줄어드는(3.5%P) 등 이용자 권리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다만, ‘모르겠다’나 ‘중립’으로 응답한 의견도 상당수를 차지해 지능정보서비스와 관련된 이용자 권리에 대해 아직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이용자의 비율도 여전히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활용되는 데이터 소유권에 대해 전년 대비 9.2%P 증가한 44.2%의 응답자가 기업과 개인 모두에게 소유권이 있다고 응답했다. 기업에 소유권이 있다는 의견은 전년 대비 7.7%P 하락한 24.1%로 조사됐다.

인공지능 확산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일 중 심각성이 가장 큰 것으로는 자율주행차로 인한 사고 보상문제(68.8%), 인공지능스피커가 대화내용을 허락 없이 전송하는 것(64.2%), 수집된 개인정보가 어떻게 이용되는지 알지 못하게 되는 것(61.8%) 순으로 꼽혔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채수웅
woong@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