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오늘날 기업의 데이터는 온프레미스부터 프라이빗 클라우드, 퍼블릭 클라우드 등 다양한 환경에 분산돼 있다. 이를 제대로 파악하고 관리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하지만 흩어져 있는 데이터의 통합관리 및 보호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향후 랜섬웨어 공격과 같은 리스크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클라우드를 빛나게하는 NAS 백업의 모든 것!’을 주제로 지난 24일 진행된 DD튜브 웨비나에선 NAS 시장의 선두기업인 넷앱과 유럽 1위 백업·복구 기업인 빔소프트웨어 관계자가 출연,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및 보호방안을 소개해 큰 관심을 모았다.
네트워크 스토리지(NAS) 시장의 강자, 넷앱은 지난 2014년부터 ‘데이터 패브릭’ 전략을 제시하며 온프레미스는 물론 다양한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 손쉽게 데이터를 이동,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이날 김주철 한국넷앱 차장은 “넷앱은 데이터 패브릭을 통해 고객들은 엣지와 코어, 클라우드에서 데이터를 수집, 처리하고 소산하는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제공하는 데이터 통합 매니지먼트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며 “특히 지난 30년 가까이 제공 중인 스토리지 OS인 ‘온탭’을 통해 항상 최신의 스토리지 기술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4~5년 전부터 아마존웹서비스(AWS)나 MS 애저,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 등 다양한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클라우드 볼륨 서비스(CVS)를 통해 고객들은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고성능 네이티브 NA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김 차장은 “온탭은 클라우드 상에서 VM처럼 구현할 수 있어 중복제거와 압축, 클라우드 티어링 등 ‘온탭’이 갖고 있는 고유한 기능을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이미 상위 10대 소매업체 및 헬스케어기업 중 6곳, 상위 10대 은행 중 8개가 퍼블릭 클라우드 환경에서 넷앱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다.
또, 빔(Veeam) 소프트웨어는 유럽 시장 1위, 전세계 3위의 백업·복구 솔루션 기업이다. 올해 초 인사이트 파트너스라는 사모펀드에 인수가 되면서 스위스에 있던 본사를 올해 초 미국으로 이전했다. 빔의 특징은 물리환경과 가상화. 클라우드 등 어떤 환경에서도 복구시점 최소화(RTPO)할 수 있다는 점이다. RTPO는 보통 15분 이내로 이뤄진다.
신동운 빔소프트웨어 코리아 시스템 엔지니어(부장)는 “예전에는 ‘백업’을 사고가 났을 때 데이터를 복구하는 정보의 보험 개념이었다면, 이제는 백업 데이터도 바로 접근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며 “빔은 하나의 제품에서 DB·파일백업과 OS백업을 모두 제공해 타 제품 대비 약 30~50%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넷앱과 빔소프트웨어는 최근 기업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신 부장은 “넷앱과 빔을 함께 사용하는 고객이 많다”며 “빔의 경우, 넷앱에 최적화된 기술을 많이 내놓고 있으며, 두 제품을 함께 사용할 경우 시너지도 높다”고 강조했다.
실제 시장조사기관 IDC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고객 데이터를 넷앱과 빔을 통해 보호할 경우, 백업 속도는 기존 대비 4~5배, 복구는 6~7배 빠르다는 조사 결과도 제시했다 또, 데이터를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등 외부로 소산(백업)할 경우, 고속의 백업 및 복구도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국내에서도 대한유화공업이 노후화된 IT시스템의 현대화를 위해 넷앱과 빔의 조합을 선택했다. 가상화 환경에 최적화된 넷앱의 올플래시 스토리지 A200과 빔의 솔루션을 도입해 데이터 백업 및 복구 속도가 향상됐으며 중단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비즈니스 안정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었다.
신 부장은 “빔 소프트웨어를 넷앱 NAS와 결합할 경우 스캔시간을 최소화해 백업 시간을 2배에서 최대 10배까지 단축할 수 있다”며 “최근에는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로 백업 및 장기보관을 하는 경우도 많아, 넷앱의 S3 기반 스토리지 그리드에 장기백업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