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서비스

갈등 고조된 AWS vs 엘라스틱, 오픈소스의 미래는? [IT클로즈업]

백지영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유명 오픈소스 검색엔진인 엘라스틱서치를 둘러싸고 최근 개발사인 엘라스틱과 아마존웹서비스(AWS)가 갈등을 겪고 있다.

AWS이 엘라스틱서치 코드를 가져다가 매니지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갈등이 시작됐고, 결국 엘라스틱은 라이선스 변경을, AWS은 이전 버전을 기반으로 포크해 계속해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발표한 상황이다

이같은 갈등은 엘라스틱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몽고DB와 레디스DB를 주도하는 레디스랩스도 라이선스 정책 변경을 통해 클라우드 업체가 오픈소스 기반의 매니지드 서비스 제공하는 것에 제재를 가한 바 있다.
무슨 일이 있었나

양사가 갈등을 겪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15년부터다. 당시 AWS이 엘라스틱서치 코드를 가져다가 매니지드 서비스(아마존 엘라스틱서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엘라스틱은 이에 대한 불만을 공공연하게 내비쳐왔다.

‘아마존 엘라스틱 서치 서비스’가 엘라스틱이 AWS을 비롯한 다양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자체적으로 제공 중인 ‘엘라스틱 클라우드’와 경쟁 관계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엘라스틱은 AWS의 SaaS 고객이기도 하다. 엘라스틱 사용이 늘어날수록 AWS의 수익도 함께 늘난다.

물론 오픈소스인 엘라스틱을 서비스로 만드는 것이 불법은 아니지만, AWS이 엘라스틱과 별도의 협의 없이 엘라스틱 클라우드와 경쟁이 되는 서비스를 내놓은 것부터가 엘라스틱의 심기를 건드린 셈이다. 오픈소스에 대한 기여보다는 이를 이용해 자사 수익 올리기에만 급급하다는 비판이다.

엘라스틱의 대응은?

엘라스틱은 지난 20일 엘라스틱서치와 키바나(시각화 솔루션)의 새 버전부터 라이선스를 기존 아파치 2.0에서 엘라스틱 라이선스 및 SSPL(서버 사이드 퍼블릭 라이선스) 등 이중 라이선스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2018년 엘라스틱이 발표한 엘라스틱 라이선스는 소스코드가 공개돼 있고,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고 소스코드도 공개돼 있지만 이를 상용으로 판매하는 것은 금지돼 있다.

엘라스틱은 “엘라스틱 라이선스는 아마존 엘라스틱서치 서비스처럼 엘라스틱 제품을 가져다가 서비스로 제품을 직접 판매하거나, 제품을 재배포하거나, 소스코드를 해킹해 구독하지 않고 유료기능에 접근하거나, 프로덕션에서 수정된 버전을 사용하지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또, SSPL은 GPL에 기반한 라이선스로 역시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서비스 형태로 제공될 경우 이와 연동돼 실행되는 모든 소스코드를 공개해야 하는 의무를 갖고 있어 오픈소스 이니셔티브(OSI)에서 인정하는 라이선스가 아니다.

샤이 배넌 엘라스틱 CEO는 자사 블로그에 ‘엘라스틱 라이선스 변경을 해야 했던 이유’라는 글을 통해 “제 배경과 오픈소스에 대한 그동안의 작업으로 미루어볼 때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어려운 결정이었다”며 “이번 변화는 AWS과 아마존 엘라스틱서치 서비스 때문이며, 그들은 2015년 이후로 (우리가 생각하기에) 별로 옳지 않는 일들을 해왔고 그것이 더 악화돼 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아마존의 행동은 오픈소스 생태계에서 특히 중요한 규범과 가치관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오픈소스 세계에서 상표는 제품 평판을 보호하기 위한 휼륭한 방법으로 여겨지는데, 2015년 아마존이 엘라스치를 기반으로 자체 서비스를 출시하고, 이를 아마존 엘라스틱서치 서비스로 불렀다는 것은 명백한 상표권 침해로 옮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아마존 오픈디스트로를 엘라스틱서치 포크라고 발표하면서 커뮤니티를 더욱 분열시키고 추가적인 혼란을 야기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결정은 기존 사용자들에게는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을 것”이라며 “투명성, 협업, 개발성이라는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핵심 가치를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AWS의 대응은?

하지만 이번엔 AWS도 가만있지 않았다. AWS은 ‘진정한 오픈소스 엘라스틱서치를 위한 준비’라는 블로그 글을 통해 “엘라스틱의 라이선스 변경은 엘라스틱서치와 키바나가 더 이상 오픈소스 소프트웨어가 아님을 의미한다”며 “두 패키지의 오픈소스 버전을 계속 사용할 수 있고, 잘 지원되도록 하기 위해 아파치 2.0 라이선스에 따른 포크(소스코드를 복사해 새롭게 만드는 행위)를 생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앞서 지난 2019년 AWS은 엘라스틱서치용 오픈디스트로를 출시하며 네트워크 암호화 및 액세스 제어 지원 등의 기능을 넣어 오픈소스로 배포한 바 있다.

AWS은 “2020년에만 230개 이상의 루신 기여를 통해 엘라스틱서치와 엘라스틱서치 기반이 되는 핵심 검색 라이브러라인 ‘아파치 루신’ 모두에 업스트림 코드 기여를 했다”며 “이같은 다년간의 경험을 통해 앞으로 몇주 내 (새로운 라이선스가 적용되지 않는) 7.10 버전을 기반으로 엘라스틱서치 및 키바나 포크를 만들어 깃허브 레포지토리에 게시하겠다”고 말했다.

두 솔루션 모두 기존 오픈디스트로 배포에 포함돼 엘라스틱에서 제공하는 아파치 2.0 라이선스 빌드를 대체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AWS은 “오픈소스라는 용어는 1998년 만들어진 이래 특별한 의미를 갖고 있다”며 “엘라스틱은 오픈소스의 이점을 주장하면서 오픈소스 정의 자체를 무너뜨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업계 반응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사와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 간 갈등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인기 오픈소스 NO SQL DB인 몽고DB는 AWS이 2019년 몽고DB와 호환되는 ‘아마존 다큐먼트DB’를 출시 전 자사 라이선스 정책을 변경했다.

몽고DB는 기존에 적용하던 GNU APGL 3.0에서 SSPL로 바꿨다. 이는 기존 APGL 3.0과 마찬가지로 자유롭게 다운로드하고 수정해 활용·재배포할 수 있으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의 의무를 별도로 명시했다. 몽고DB는 AWS 등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서비스형 DB인 ‘아틀라스’를 제공하고 있다.

레디스DB 개발을 주도하는 레디스랩스도 오픈소스 모듈에 '커먼 클로즈(Commons Clause)'란 새 조항을 적용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가 오픈소스 기반의 매니지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도록 했다.

국내에서도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는 아니지만, 국내 인터넷 대기업 카카오가 국내 오픈소소 소프트웨어 저작권과 관련해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카카오는 스타트업 태드폴허브의 조현종 대표가 만든 오픈소스 DB관리 및 접근제어 소프트웨어 ‘올챙이’에 기능을 추가하고 ‘개구리’라는 명칭을 붙여 내부 테스트를 진행하려다 저작권 침해 논란이 일었다.

국내 한 오픈소스 업체 관계자는 “힘없고 작은 회사가 그렇게 하면 이해하겠지만, 아마존 같은 대형 기업이 그렇게 하면 밥그릇 뺏기는 것 밖에 더 되겠냐”며 “오픈소스로 만들어 기껏 시장을 만들어놨더니 아마존이 사용자 기반을 그대로 가져가는 이런 식의 행태가 계속된다면, 오픈소스 산업 전반을 무너뜨릴 수도 있다”며 우려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구글 클라우드처럼 차라리 AWS이 엘라스틱과 협의해 수익을 공유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꼬집었다.

구글 클라우드의 경우, 일부 오픈소스 업체와 협력해 관련 서비스에 대한 수익을 나누는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레디스, 몽고DB, 엘라스틱, 데이터스택스, 네오4j 등이 대표적이다. 오픈소스 기업과 파트너십을 채결해 구글 클라우드 콘솔에서 이들 DB를 직접 제공하는 식이다.

구글 클라우드 관계자는 과거 한 기자간담회에서 “타사는 오픈소스DB에서 포킹해 직접 제공 서비스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오픈소스 업체의 매출 증가를 저해하는 것”이라며 “구글은 이들과 상생하는 방안으로 마켓플레이스 아닌 구글 클라우드 콘솔에서 직접 구글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처럼 통합하고 공동 영업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백지영
jyp@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