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5인 이상 집합금지, 코로나19 확산세 꺾었다

최민지
-KT, ‘코로나19’ 1년 빅데이터 분석결과 공개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지난 연말 5인 이상 집합금지 조치가 코로나19 확산세를 꺾는 데 효과가 있었다. 정부 방역정책에 따라 서울시가 지난달 23일부터 ‘5인 이상 집합금지’를 실시한 후 인구 이동량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KT(대표 구현모)는 지난해 코로나19 유행 시기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7일 공개했다. KT 디지털&바이오헬스P-TF가 실시한 이번 분석은 KT 통신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지역구별 유동인구 변동 추이, 뉴스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소셜 버즈(buzz, 특정 주제에 대한 언급)량’과 확진자수 증감 비교로 진행됐다.

KT가 분석한 유동인구 빅데이터에 따르면 5인 이상 집합금지가 시행되기 4일 전부터 서울시 인구 이동량이 증가 추세로 전환되기 시작했으나, 5인 이상 집합금지 발효 후 성탄절 연휴가 시작되면서 이동량이 급격한 감소세로 돌아섰다. 확진자 수도 감소하기 시작했다. 연말 유동인구가 늘어나는 시점에 맞춰 적기에 대응해 확진자 증가세가 둔화되는 효과를 거뒀다는 설명이다.

시민들은 정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상향에 앞서 적극적으로 행동했다. 지난해 8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추이를 살펴보면,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함에 따라 정부 방역단계가 강화된 11월24일 이전부터 이미 서울 내 이동인구가 감소했다. 시민들이 확진자 증가 추이를 살피면서 자발적으로 이동을 줄인 것이다.

지난해 1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코로나19 3차 대유행 시기를 조사한 결과 1‧2차 유행 때와는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지난해 3월 1차 유행, 8월 2차 유행 때는 확진자 증가에 따른 이동인구가 즉각적으로 줄었다. 3차 유행 때는 이동인구 감소 현상이 다소 천천히 이뤄졌다. 시민들 반응속도가 이전 1‧2차에 비해 더뎌진 셈이다.

같은 기간 트위터, 커뮤니티 등 소셜 버즈량(키워드 ‘코로나’) 추이에서는 1‧2차 유행보다 3차 대유행 확진자 수가 크게 늘었음에도 버즈량은 오히려 감소했다. 장기간 진행된 방역 조치에 따라 피로도가 커지고 코로나19 학습효과가 생겼기 때문이다.

한편, 다른 지역구로부터 인구 유입이 많은 지역구는 확진자 비율(구의 거주자 수 대비 확진자 수)도 높았다. 타 지역구 인구 유입이 가장 많은 서울 중구와 종로구는 확진자 비율이 각각 0.18%, 0.21%를 기록했다. 강서구, 중랑구는 유입인구 비율은 낮았음에도 지역에서 발생한 댄스학원‧종교시설 등 집단감염으로 인해 확진자 비율이 높았다.

3차 유행 때 확진자 증가와 인구 이동량을 자세히 살펴보면 5인 이상 집합 금지 이후에도 확진자가 늘어난 자치구는 그렇지 않은 구에 비해 유입인구 감소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영등포구와 금천구 사례를 보면 영등포구는 5인 이상 집합금지 이후에 확진자가 감소한 반면, 금천구는 확진자가 지속 증가했다. 영등포구는 5인 이상 집합금지 실시 전까지 타 지역으로부터의 유입인구가 금천구보다 더 많이 감소했는데, 이는 사업장 유형이나 근로조건 등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최민지
cmj@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