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1억 이상 관리직이 체육관 관리업무를?…KBS 상위직급 비중 여전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감사원이 KBS에 대해 상위직급 과다운영으로 경영에 부담을 주는 만큼 상위직급 비율 감축할 것을 권고했지만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KBS는 1989년부터 직급별로 구분해 관리하던 일반직 정원을 ‘2직급’에서 ‘5직급’까지의 정원을 통합관리 하는 것으로 직제규정을 개정했다.
하지만 2017년 감사원의 감사 및 2018년 방송통신위원회의 시정명령에 따라 2019년 직급체계 변경을 통해 책임직급(M직급)과 실무직급(G직급)으로 다시 변경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관리직급과 1직급을 폐지하고 2직급 갑에서 5직급까지 통합정원을 분리했다. 2017년 감사에 앞서 감사원은 2008년에도 2직급 쏠림 현상을 지적한 바 있다.
직급변경 이유는 절대적으로 비중이 높으면서 동시에 고임금을 받고있는 직급에 대한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됐기 때문이다.
직급 변경전인 2019년 KBS 2직급의 경우 갑 1799명, 을 579명으로 전체 인력의 50.3%를 차지했다.
최근 KBS 수신료 인상 논의와 고액연봉이 논란이 되고 있는데 연봉 1억원 기준이 바로 2직급부터이다. 1직급, 관리직급까지 포함하면 절반 이상이 억대 연봉인 셈이다. 세금처럼 내는 수신료 인상에 야당과 국민정서가 화답하지 않은 이유다.
이에 KBS는 지난해부터 M직급과 G직급으로 세분화했다. M직급은 관리직급인데 M1~M3로 구분되고 실무직급은 G0부터 G7까지 있다.
1직급은 근속연수 20년 이상이다. 바뀐 체계로 보면 M2 직급이다. 2직급은 15년 이상인데 M3, G1, G2로 볼 수 있다. 10년 근속부터 3직급인데 현재 기준으로는 G3에 해당한다.
KBS 인력규모는 소폭 변화는 있지만 4500명 수준에 형성돼 있다. 작년 직급체계를 바꾸었지만 과거와 비교하면 큰 차이는 없다. 절대적으로 비중이 높으면서 동시에 고임금을 받고 있는 1~2직급(현 M1~M3, G0~G2) 직급이 예나 지금이나 조직전체의 인건비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봉이 1억 이상인 G3(3등급) 이상 인력은 직급체계 개편 전인 2019년 2665명이었지만 체계 변경된 2020년(9월 기준)에는 2661명으로 차이가 없다.
숫자직급이 영어직급으로만 바뀌었을 뿐 세부 내용은 달라진 것이 없는 셈이다.
KBS 상위직급이 높은 이유에 대해 감사원은 승급기간이 짧고 특별한 흠결이 없으면 자동승급되는 제도상의 문제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했다.
SKT 유심 사태에 금융권 '초긴장'… 캐피탈·보험업계, 본인인증 중단·얼굴 인증 전환
2025-04-28 17:14:06“한국 토큰증권 규제, 일본 사례 참고하되 우리만의 특성 고려해야”
2025-04-28 17:08:05카카오, AI '카나나'로 실적 부진 돌파하나…"CBT 출시 임박"
2025-04-28 17:07:46SKT 해킹시점 고쳐준 KISA? "소통 오류, 재발 없도록 보완"
2025-04-28 16:16:54“SKT 유심 공급, 내달 중순까지 어려워”…e심 사용 권고
2025-04-28 15:5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