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라이트닷넷

광고로 본 이통사들의 치열한 경쟁의 역사

채수웅 기자
[IT 전문 블로그 미디어=딜라이트닷넷]
통신사들의 광고 이야기를 한 번 해볼까 합니다. 광고 전문가는 아니지만 이통사들의 광고를 보면, 당시의 서비스 트렌드, 경쟁상황, 정부 정책 등이 녹아있습니다.

산업적인 측면이외에도 이통사들의 광고에는 웃음도 있고, 감동도 있습니다. 경제가 어려울 때는 힘이되는 광고들도 많습니다. 모 기업의 광고처럼 사람과 사람을 연결해 주는 내용의 광고는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기억속에 남아있습니다. 최근의 KTF의 쇼는 톡톡튀는 유머로 많이 회자가 됐습니다. 

반면, 어떤 광고들은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기도 합니다. 속내를 약간 아는 기자 입장에서 보면 속이 뻔하다고 해야 할까요? 어떤 측면에서는 "이제와서 염치도 참 좋다"라는 생각마저 들기도 합니다.

어쨌든 시대별로 큰 정책적 변화가 있을 때 등을 기점으로 이통3사의 광고를 분석해보려 합니다. 주제는 '경쟁' 입니다. 이통사들의 광고를 통해 당시의 경쟁상황과 현재의 경쟁구도를 광고를 통해 조명해볼 생각입니다.

크게는 ▲96년 CDMA 상용화 시점부터 97년 PCS 사업자의 등장에 따른 셀룰러와 PCS 진영간의 대결 ▲그리고 인수합병을 통해 3개 사업자로 재편된 이후 2004년 번호이동성제도 시행으로 인한 사업자간의 뺏고빼앗기기 경쟁 ▲3세대 이동통신 시장에서의 경쟁 등으로 구분할 생각입니다.

[딜라이트닷넷 창간기획] 터지면 모든 것이 용서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이동통신 서비스가 처음 상용화된 시점은 1984년이지만 본격적인 태동을 알렸던 시기는 CDMA가 처음 상용화됐던 1996년입니다. 이 전만해도 이동전화 서비스에 대한 TV 광고는 거의 없었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경쟁 자체가 없었던 시절이었습니다.


한국이동통신(현재 SK텔레콤)이라는 회사만 존재하다가 신세기통신이라는 제 2사업자가 등장하면서 이동통신시장은 드디어 경쟁모드에 돌입하게 됩니다. 그와 동시에 SK텔레콤은 탤런트 채시라씨를 모델로 한 본격적인 의미의 TV 광고를 론칭하면서 '디지털 011'이라는 브랜드가 세상에 선을 보이게 됩니다. 



탤런트 채시라씨와 권용운씨가 콤비를 이뤄 방영됐던 '디지털011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습니다' 광고는 말 그대로 빵빵 터진다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두 형사가 살금살금 범인을 잡으려 침투하고 있는데, 잠자는 사자 깨우지 않고 살금살금 걷고 있는데 이놈의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 휴대폰때문에 곤경에 빠진다는 내용이었는데요.


전국방방곡곡, 독도에서도 휴대폰이 터지는 지금에서 보면 웃음이 나오기도 하지만 10여년전에는 정말 통화가 되는 것 자체가 상당히 중요했던 시절이었습니다. 삼성전자도 한국지형에 강하다는 콘셉으로 광고를 했었지요.


여튼 이때까지만 해도 이동통신 시장은 011 천하였습니다. 하지만 1997년, 한국통신프리텔, 한솔PCS, LG텔레콤 등 PCS 3사가 등장하면서 이통시장은 5개 서비스사가 경쟁하는 춘추전국시대를 맞이합니다.


전체적으로 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의 이통사 경쟁은 지금과 마찬가지로 SK텔레콤대 나머지로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016, 018, 019 등 PCS 진영은 광고도 공동으로 하면서 PCS간의 경쟁이 아닌 PCS 파이 넓히기에 주력하게 됩니다.



이후 한솔PCS는 '원샷 018'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기존 이통서비스 011과의 차별성을 전면에 내세우는 광고전략을 폈습니다. KTF는 100년 전통의 KT 계열사라는 것을 적극적으로 내세우고 LG텔레콤은 감성에 소구하는 광고전략을 통해 SK텔레콤에 맞불을 놓습니다.


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들어보면 당시에는 신문사도 이통사들간의 경쟁 덕을 톡톡히 본 것 같습니다. 사업자 당 월 수십억원의 광고비를 집행했다고 하니까요.




공통점이 있다면 초기 PCS 3사는 SK텔레콤을 공공의 적으로 간주, 연합전선을 형성해 대항했다는 겁니다. 고성능, 저가, 초소형 단말기로 소비자를 유혹하는 공동마케팅을 전개했습니다.


이 때 SK텔레콤이 선보인 브랜드가 바로 오랜기간 SK텔레콤의 대표 브랜드로 활약한 '스피드011'입니다. '스피드011'은 97년부터 2003년까지 무려 7년간 SK텔레콤의 메인브랜드로 활약하게됩니다.



그렇게 '스피드 011' '파워디지털 017', '원샷 018', '사랑의 019' 등으로 브랜드 경쟁을 하던 이동통신사들은 90년대 말부터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브랜드 전쟁을 시작합니다. 2000년까지만 해도 SK텔레콤은 TTL, KTF는 NA, LG텔레콤은 카이 등 20대를 겨냥한 서비스 경쟁을 비롯해 본격적으로 10대를 겨냥한 마케팅에 돌입하게 됩니다.


SK텔레콤은 팅(Ting), KTF는 비기(BiGi), LG텔레콤은 카이홀맨이란 이름의 전용브랜드를 내놓습니다. 왜 이통사들은 10대에 주목했을까요? 어차피 학생들은 경제적 능력도 되지 않아 ARPU(가입자당 매출)도 얼마 되지 않았을텐데요. 


여담으로 학생들이 자기 용돈으로 처음 구매하는 IT기기가 MP3 플레이어라고 합니다. 삼성전자가 MP3 사업에 뛰어들었을때 중소기업 영역에 대기업이 뛰어드는 것에 곱지않은 시선도 있었습니다.


삼성전자 직원이 그러더군요. 10대때 삼성 MP3를 사용하는 학생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애니콜, 파브 등의 고객으로 이어진다고...이통사 역시 그러한 맥락에서 10대를 잡아야 한다는 전략이 있었고 휴대폰이 특정층의 전유물이 아니라 전국민의 보편적 서비스로 자리를 잡는 시점이 아니었나 생각이 듭니다.  


TTL 광고의 경우 상당히 센세이셔널을 일으켰습니다. 한번도 본 적없는 모델인 임은경씨가 나와서 쉽게 이해되지 않는 화면으로 나중에 TTL SK라는 카피만 화면에 떴습니다. 일종의 티저광고로 TTL이라는 브랜드를 소비자에게 강하게 인식시킨 것으로 평가됩니다.




비기 광고에는 국민여동생 문근영씨가 나와서 많은 인기를 끌었습니다. LG텔레콤은 카이홀맨이라는 캐릭터를 내세웠습니다. 캐릭터 자체로는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만 통신사의 이미지 높이는데는 얼마나 기여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2000년대 초반에 통신시장에 지각변동이 일어나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2001년 SK텔레콤이 신세기통신을 합병합니다. SK텔레콤이 경쟁력의 근본인 800MHz 주파수를 독점하게 되는 사건이었습니다. 여튼 SK텔레콤은 신세기통신을 인수하면서 정부의 시장규제를 받게 됩니다. 당시 SK텔레콤은 신세기통신 인수로 시장점유율이 57%에 달했고, 당시 정통부는 점유율을 50% 이하로 낮추는 조건으로 인수를 허용합니다.


때문에 SK텔레콤은 이동전화 사업을 시작한 이래 처음 가입자를 받지 말아야 하는 상황에 이르게 됩니다. 물론, 광고에 영업적인 메시지도 담을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이 때 디마케팅(De-Marketing)의 일환으로 등장한 광고가 그 유명한 '꼭 011이 아니어도 좋습니다'입니다. 당시 국민배우던 한석규씨를 모델로 '노란리본', '새출발', '등나무' 편 등이 방송됐었습니다.



속사정을 모르는 일반 시청자들이 봤을때는 역시 1위 사업자니까 저런 여유도 부리는 구나 했겠죠. 당시 SK텔레콤은 속이 타들어가는 느낌이었겠지만 그 같은 광고를 통해 SK텔레콤의 이미지는 한결 산뜻해졌고, 불량(?)가입자도 솎아내는 작업을 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편은 이동통신 경쟁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번호이동성제도가 시행되는 시점인 2004년 즈음부터 시작합니다. 010이 등장하고 사업자별로 치열한 가입자 쟁탈전이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상대방을 직접 겨냥한 광고들이 대거 등장합니다.

 

[채수웅 기자의 블로그=방송통신세상]


채수웅 기자
woong@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