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기획/딜라이트닷넷 창간 1주년] 통신사들 왜 통신에서 벗어나려고 하지?

채수웅 기자
[IT전문 미디어블로그=딜라이트닷넷]

통신업계가 전통적인 통신영역에서 벗어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SK텔레콤은 산업생산성증대(IPE Industry Productivity Enhancement), KT는 스마트(S.M.ART : Save cost, Maximize profit ART), LG텔레콤은 탈(脫)통신 등 이름만 다르지 전통적인 통신시장이 아닌 다양한 산업군으로 영역을 확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통신사들은 해외진출도 모색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내수산업에 안정적인 수익이 가능했던 통신사들이 왜 이런 변화를 모색하고 있을까요?

통신사들이 새로운 도전에 나서는 이유는 전통적인 통신시장에만 머물러서는 더 이상 지속성장이 어려워졌기 때문입니다.

이미 이동통신 시장의 가입자 수가 전체 인구수를 초과했습니다. 초고속인터넷 및 유선전화는 말할 나위가 없습니다. 가입자 포화와 요금인하 등의 이슈로 통신사들의 이익률 역시 감소추세입니다.

호황기였던 2003년 SK텔레콤의 영업이익은 3조원을 넘겼지만 2008~2009년에는 2조원 초반대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하는데 그쳤습니다. 그래서 통신사들이 IPE나 스마트, 탈통신이라는 카드를 꺼내들은 것입니다.

서두에 통신영역에서 벗어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고 했지만 그래도 기준점은 역시 통신입니다. 다만, 과거 가입자 기반으로 요금을 받아온 형태가 아니라 유선과 무선의 결합, 콘텐츠 및 방송과의 융합, 자동차, 조선, 물류 등 이종산업간의 결합입니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통신은 보다 다양한 영역으로 뻗어나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습니다.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스마트워크 시대에서도 통신은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단순히 네트워크만 제공한다면 과거 가입자 기반으로 요금을 받아온 것과 크게 다르지 않겠죠.

그렇다면 통신사들의 전략은 어떨까요.

일단 SKT의 경우 유통, 물류, 금융, 교육, 헬스케어, 제조(자동차), 주택/건설, 중소기업 등의 분야를 8대 핵심 아이템으로 선정하고 관련 사업모델 발굴에 나선 상태입니다.

KT는 대기업, 소호 및 중소기업, 공공, 빌딩, 공간, 그린 등 6개 분야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LG유플러스는 미디어 & 광고, 교육, 유틸리티(수도, 전기, 가스 등), 자동차, 헬스케어 등 탈(脫) 통신 전략의 구체적인 대상입니다.

서로가 주목하는 시장은 겹치는 부분도 있지만 약간씩 다릅니다. 이유는 자신이 강점이 있는 분야에 우선 집중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통신사들이 여기에 거는 미래는 거창합니다. SKT는 2020년에 IPE 영역에서만 매출 20조원을 돌파한다는 계획이고, KT 역시 스마트 전략을 통해 2012년 기업고객 매출 5조원을 달성한다는 방침입니다.

네트워크를 통한 음성매출이나 인터넷 이용 요금만으로는 성장한계에 봉착한 통신업계가 통신의 굴레를 벗어던지고 의미 있는 성과를 낼 수 있을까요?

아직은 미지수입니다. 하지만 다른 대안이 없는 것 역시 현실입니다. 최근 이통사들은 스마트폰 가입자의 증가로 가입자당평균매출(ARPU)가 올라갔다며 들떠있지만 모바일 인터넷전화, 무제한 데이터 시대 등의 도래로 탄탄한 수익기반이었던 음성 및 데이터 매출은 정체, 또는 하락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음편에서는 통신3사의 탈통신 전략과 강점 및 약점 등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채수웅 기자 블로그=방송통신세상]

채수웅 기자
woong@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