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IT

금융권 차세대시스템 개발 실패의 역사…당혹스러웠던 순간들

박기록 기자

[IT전문 미디어블로그 = 딜라이트닷넷]

 

지난주 금융IT업계에서 가장 관심을 끌었던 소식은 '비씨(BC)카드의 차세대시스템 개발 중단' 이였습니다. 500억원을 넘게 투입해 지난 1년6개월이 넘도록 진행해왔던 프로젝트가 실패한 것이죠.

 

언제인지 기약할수는 없지만 비씨카드는 차세대 프로젝트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물론 결코 쉽지않은 일입니다. 42.195Km를 뛰어온 마라토너에게 왔던 길을 다시 뛰라고 한다면 너무 막막한 비유일까요.


회사 관계자는 "(차세대 재추진)일정은 나오지 않았지만 기존 차세대 프로젝트에서 나온 산출물을 재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비록 프로젝트는 실패했지만 거기에서 나온 '산출물'들이 매우 중요한 것은 사실입니다. 차세대 사업을 재추진할 경우, 산출물을 제대로 활용한다면 처음보다는 훨씬 수월하게 시행착오를 줄이고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마칠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기존의 '산출물'이 어느 정도 효용이 있을지는 새로 그리게될 차세대시스템 아키텍처의 유사성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또한 과거 금융권 사례에서 보면, 향후 사업자가 변경됐을 경우 산출물에 대한 '저작권'이 문제가 될 수도 있다는 점도 변수입니다.

관련하여 차세대 사업은 아니지만 지난 2009년 1년간 진행됐다 실패한 후, 재추진된 국민은행의 자본시장통합시스템(CMBS)시스템 프로젝트의 경우를 참조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당시 한국IBM에서 SK C&C로 주사업자가 변경됐는데 이 과정에서 발주자인 국민은행은 기존 산출물을 재활용하기위해 필요한 법률적 문제를 회피하는 등 사전정지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차세대 개발 중단... 미련 또는 아쉬움

통상 금융기관들은 차세대시스템을 오픈하기에 앞서 약 3개월간 여러 형태의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최종적으로는 전점테스트를 통해 실전에 가까운 상황에서 시스템을 가동하고, 여기에서 문제가 없으면 추석, 설날 등 2~3일간의 연휴기간을 통해 최종적으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을 완료합니다.
신시스템으로의 이전이 완료되는 것이죠.

 

물론 신시스템이 공식 오픈되도 이러 저런한 소소한 장애가 속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약 2주간의 가동을 통해 이런 저런 오류를 잡아내는 과정을 끝나면 비로소 시스템 오픈 성공을 선언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국내 금융권에서 차세대시스템 개발이 매끄럽지 못해 한 두 차례 오픈 일자를 연기하는 경우는 허다합니다.

그러나 그렇다 하더라도
비씨카드처럼 프로젝트 완료를 코앞에 두고 개발을 전면 백지화하는 경우는 매우 이례적입니다. 수백억원을 투입한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했다면 1~2개월을 추가로 작업해서 완결시키는 것이 새로 처음부터 시작하는 것 보다는 훨씬 경제적이기 때문입니다.

도저히 기술적으로 돌이킬 수 없는 '치명적인 오류'이거나 또는 그 이외의 말못할 변수(?)가 없다면 말이죠.


◆무엇이 잘못됐을까

 

비씨카드는 하드웨어의 문제인지 소프트웨어의 문제인지 내부적으로 조사를 통해 '오류의 원인'을 찾아내겠다는 입장이지만 그 시한을 못박지는 않았습니다.

 

회사측이 인정하는 부문은 '승인시스템'에서의 오류입니다. 테스트 과정에서 일부의 카드 승인이 제때에 떨어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했고, 원인을 알수 없지만 그런 현상이 지속됐다는 것입니다. '원인 불상'이죠.


승인시스템은 은행의 계정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카드시스템의 핵심입니다.

이처럼 핵심적인 부문에서 지속적으로 문제가 발생했다면 시스템 오픈을 강행하지 않는 것은 당연한 조치입니다.


그런데 궁금한것은 이것이 과연 기술적으로 '치유가 불가능한 문제'였나 하는 것입니다.

이번 비씨카드 차세대시스템에 개발은 한국IBM과 LG CNS가 시스템 설계및 운용 등 각각의 역할을 맡아 참여했습니다.


국내 금융권에서 한국IBM은 메인프레임 기반의 차세대시스템 아키텍처를 수없이 구현한 업체입니다.

LG CNS 또한 지난 2000년대 중반 국내 최대의 카드업체였던 LG카드(이후 신한카드에 합병)의 차세대시스템 개발에 성공했을 뿐만 아니라 금융권 차세대시스템 개발 노하우가 가장 많은 회사입니다.


금융권 차세대시스템 분야에서 최고 에이스라고 손꼽히는 IT업체들이 '치유할 수 없는' 승인시스템의 오류현상을 유발시켰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미스테리한 일입니다.


물론 당사자들은 입을 굳게 다물고 있습니다.

 

또 하나의 원인은 일각에서 제기하는 메인프레임 용량 계산의 착오에 대한 문제입니다.

차세대시스템에 소요되는 메인프레임 CPU의 용량, 즉 밉스(Mips)치를 잘못계산해 추가로 막대한 비용이 소요됐고 시스템 구축 일정에도 차질이 생겼다는 것인데요.

 

이것이 원인이돼 백지화를 결정했다면 분명 '황당 사건'으로 기록될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도 상식적으로 의문이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설령 시스템 설계 단계에서 CPU소요량 계산을 잘못했다면 필요한 만큼 추가 구매해서 프로젝트를 종결시키는 것이 더 경제적이기 때문입니다. 하드웨어 용량 부족의 문제라면 처음부터 프로젝트를 다시 할 이유까지는 안된다는 것이죠.

실제로 회사측도 '다소 소요량이 더 늘어난 것은 있지만 프로젝트에 영향을 줄 정도는 전혀 아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되풀이되는 역사... 실패의 데쟈뷰

 

비씨카드의 차세대 프로젝트 백지화 선언은 당분간 금융IT업계에 관심사가 될 것 같습니다. '치유할 수 없는 오류'에 대한 궁금증이 여전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놀라운 것은 과거에도 이와 유사한 일이 실제로 있었다는 점입니다. 반갑지않은 데쟈뷰라고 할까요.

지난 2000년대 초, 차세대시스템 오픈을 1개월여 앞둔 우리은행은 돌연 차세대시스템 개발 포기 선언을 하게됩니다.

차세대시스템의 핵심인 계정계(코어뱅킹)의 정합성이 문제였습니다. 일일 결산에 오류가 생기는 현상이 반복됐습니다. 그런 상황이면 은행은 정상적인 영업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 오류를 치유하지 못하고 시스템을 오픈했다면 국가적인 혼란이 야기될 수도 있습니다.

 

결국 2000억원 가까이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 차세대 사업은 백지화됐습니다. 우리은행은 당시 스페인계 코어뱅킹 패키지(알로마)를 채택했는데 여기에서 문제가 생긴거죠.


당시 막대한 공적자금으로 겨우 회생한 우리은행은 국민의 혈세를 이렇게 어이없게 날렸고, 1년후 가까스로 새로운 차세대시스템을 가동하게 됩니다.  

덧붙이자면 프로젝트 실패에 대해 당시 경영진은 누구도 책임을 지지 않았습니다. 또한 시스템 오류의 원인을 제공한 해당 업체로 부터 어떠한 배상을 받았는지도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나마 우리은행이 백지화를 선언한 후 비교적 빠르게 차세대시스템 재개발에 성공한 이유는 기존의 산출물을 잘 활용했기 때문입니다.

한편 과거 차세대시스템 개발에 있어 메인프레임 CPU용량 계산의 착오로 크게 고생한 사례도 실제 있습니다.


지난 2000년대 중반, IBM 메인프레임 기반의 차세대시스템 개발에 나섰던 기업은행입니다.

차세대 프로젝트 진행도중에 메인프레임 CPU를 추가로 구매해야 하는 돌발상황이 발생한 것입니다. 국책이기때문에 예산 사용에 있어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하는 기업은행으로서는 중차대한 문제였습니다. 당초 기업은행의 차세대 프로젝트 예산은 불과 500억~600억원 수준으로 추정됐었습니다.

다만 기업은행은 프로젝트를 포기하지는 않고 필요량을 추가로 도입하는 등 비상수단을 강구해 차세대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오픈했습니다.  


하지만 기업은행으로서는 어딘지 모르게 아쉬움이 남았겠죠. 마치 충분한 영양분을 받고 태어난 우량아가 아니라 인큐베이터 신세를 져야만했던 출생의 비밀.


그러나 6년후, 이러한 안쓰러운 상황은 크게 반전됩니다. 기업은행이 향후 5년간 2300억원을 투입하는 '포스트(Post) 차세대'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입니다.

'포스트 차세대' 프로젝트는 기업은행이 과거 제대로된 차세대시스템 프로젝트에 약간 미흡했던 것을 이번 포스트 차세대 사업을 통해 만회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습니다.


물론 민영화 전환, 지주사 전환 등 기업은행을 둘러싼 급격한 환경변화가 포스트 차세대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된 원인이지만 역사의 반전을 느끼게 합니다. 새옹지마(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누구나 실패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패가 결과적으로 항상 나쁜것은 아닙니다. 그것을 계기로 보다 좋은 결과를 만들어낸다면 전화위복이 될 수 있습니다.


만 전화위복이 되기위해서는 왜 내가 실패했는지에 대한 정확한 원인을 알아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합니다. 

 

[박기록 기자의 블로그= IT와 人間]

박기록 기자
rock@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