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보안관제] 대규모 보안투자에도 피해는 오히려 증가…뭐가 잘못된걸까
[딜라이트닷넷 창간2주년 기획/보안강국을 위한 쓴소리-보안관제①] 현황 진단
사이버위협이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면서 보다 보안관제에 대한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습니다. …
보안관제는 기업이나 기관 중요 정보자산을 악성코드, 해킹, 분산서비스거부(DDoS), 정보유출과 같은 악의적인 행위와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선 실시간 모니터링을 실시해 공격을 탐지, 분석하고 대응하는 체계로 정의됩니다.
정부는 사이버공격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탐지·대응하기 위한 각 부처와 시·도 등 각 영역별로 보안관제센터를 구축해 침해사고대응체계를 선도적으로 구축·운영해왔습니다.
보안관제는 방화벽, 침입탐지/방지시스템(IDS/IPS), 그리고 통합보안관리시스템(ESM), 위협관리시스템(TMS) 등 단위 보안시스템과 보안관리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네트워크 트래픽 정보를 통합 모니터링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해 사고를 처리 대응하며 정보를 공유하는 기능을 포괄적으로 수행합니다.
그러나 이처럼 완벽하게 보안관제 체계가 마련됐다고 하더라도 현실에선 대규모 보안 사고가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딜라이트닷넷> 창간 2년을 맞아, 보안관제의 현황에 대해 다각도로 짚어보고, 보안 위협으로부터 벗어나늘 수 있는 효율적인 대응전략이 무엇인지도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편집자>
지난 2000년대 초반부터 일원화된 보안관리체계 운영과 침해사고 대응협력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금융, 통신 등 각 영역별로 정보공유·분석센터(ISAC)를 만들기 시작했었죠. 벌써 까마득한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원래 목적대로 운영되지 못하면서 크게 활성화되지 못했습니다. 그나마 금융ISAC 정도만 운영이 되고 있다고 할까요.
본격적인 보안관제체계가 마련된 것은 현재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인터넷침해대응센터가 만들어지면서부터가 아닐까 싶습니다. 2003년 12월에 신설됐죠.
이후 2003년 1월 25일, 우리나라 인터넷이 몇 시간 동안 마비되는 사상초유의 사태가 발생합니다. ‘인터넷대란’이라고 불리는 그 사건입니다.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사이버보안에 대한 국가차원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응 필요성이 제기됐습니다. 그 이듬해 정부는 국가정보원에 국가사이버안전센터를 설립합니다.
국가사이버안전센터 운영이 본격화되고, 행정안전부 정부통합전산센터가 출범하죠. 이 때부터 본격적으로 보안관제센터가 정부·공공 분야에서 확산됩니다.
전자정부 보안관제센터가 구축된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정부부처 등 20여개 영역, 16개 시·도 광역자치단체까지 보안관제센터와 사이버안전센터가 마련되면서 실시간 발생하는 사이버위협을 탐지·대응할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이제는 국가사이버안전관리규정이 개정돼 정부·공공기관은 보안관제센터 구축과 운영이 의무화돼 있습니다.
정부가 이달 중 보안관제 전문업체를 지정하게 되면, 예산과 전문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구축해 놓은 정부·공공기관의 보안관제센터 운영업무를 자체적으로 담당하기 힘들 경우 민간 전문업체에게 위탁하게 됩니다.
그 사이에 은행 등 금융기관, 대기업들도 자회사를 통해 보안관제를 운영할 센터를 구축하면서, 민간분야에서도 보안관제체계 도입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보안관제 인프라를 제대로 구축해 놓는 것뿐만 아니라 어떻게 하면 제대로 운영해 효과를 볼 수 있을지 총체적인 고민이 시작된 것 같습니다.
과연 보안관제 체계를 본래의 목적에 맞게 구축해 운영하고 있는가 하는 점입니다.
그러면서 짧은 시간 동안 보안관제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동시에 한계성 또한 부각되기 시작했습니다. 최근 2~3년 간 발생한 사이버침해사고로 인한 결과는 치명적으로 다가왔기 때문입니다.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으로 정부기관·은행 등 주요사이트가 다운되고 금융전산망이 마비됐으며 인터넷사용 인구 대부분이라 할 수 있는 정도의 개인정보가 유출됐습니다.
지난 2009년 발생한 7.7 DDoS 공격, 올해 발생한 농협 전산망 장애, 네이트·싸이월드 해킹사고 이야기입니다.
앞으로 어떤 강력한 공격이 우리나라의 정보통신망이나 시스템을 대상으로 발생할지, 또 그 피해는 대체 어느 규모가 될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불안감만 커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해결해야 할 도전과제는 무엇일까요.
보안관제센터를 중심으로 사이버침해사고 예방과 탐지, 대응조치를 포함해 사이버보안에 대한 전방위적이고 종합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입니다.
사이버위협은 계속 지능화되고 강력해지고 있기 때문에 보안관제체계를 구축했다고 안심할 게 아니라 계속해서 업그레이드, 보강해야 하는 것이 우리가 처한 현실입니다.
[이유지기자의 블로그=안전한 세상]
[IT위클리템] 소비자 니즈 충족…캐논 '셀피 포토프린터', WD '콘솔용 SSD' 출시
2024-11-16 14:11:51[尹정부 ICT점검] ‘디지털정부 1위’ 성과 이면에 장애대응·격차해소 과제로
2024-11-16 10:39:44임종훈 대표, 한미사이언스 주식 105만주 매각… 상속세 납부 목적, 이면에 불가피한 속사정?
2024-11-15 18:04:20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이사회 의장직 내려놓겠다”… 삼성∙보잉 사례 참고했나
2024-11-15 17:19:23[DD퇴근길] 네이버 밴드, 美 MAU 600만 돌파…IT서비스업계, 연말인사 포인트는
2024-11-15 16:5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