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IPv4 주소 고갈 선언 2년 반…국내 사업자 IPv6 주소 보유율 13%

이유지 기자
- IPv4 부족 인식 점차 증가, 통신사·포털·제조사·수요기관 등 공동 노력 필요

[디지털데일리 이유지기자]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ICANN)이 현재 인터넷주소인 IPv4 주소 고갈을 선언한 지 2년 반이 넘게 흘렀다. 아시아태평양지역인터넷주소자원관리기관(APNIC)에서도 지난 2011년 4월부터 이로 인해 1회 IPv4 주소 할당 요청시 1회에 한 해 1024개로 제한하는 최종 할당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IPv4 주소 고갈에 대비해 IPv6 전환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아직까지 전반적인 움직임은 더딘 상황이다.

스마트기기의 급증으로 IP주소 수요가 크게 늘고 있고, 빠르게 진척되고 있는 사물인터넷(IoT) 시대를 예비하기 위해서는 IPv6 전환 환경 구현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내에서 IPv6 전환 정책을 지원하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올해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인터넷서비스제공업체(ISP)·콘텐츠제공업체(CSP)·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 대상기관 549곳 가운데 IPv6 주소를 보유 중인 곳은 전체 응답기관(549곳)의 13%(61개)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CSP(4.5%)와 학교(4.7%)의 IPv6 주소 보유율이 크게 낮은 상태다.

하지만 상당수는 현재 IPv4 주소가 부족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분야별로 온도차는 있다. 이 조사에서 IPv4 주소가 부족하다고 답한 곳은 전체 응답기관의 38.2%로 나타났다. ISP(67.4%)에서 부족하다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고, 학교(50.9%), CSP(34.1%)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IPv6를 도입하지 않은 이유로는 장비교체·신규 개발 등의 도입비용 문제(66.5%)가 가장 많이 꼽혔으며, 기술 불확실성으로 인한 위험 부담(48.9%)과 IPv6 전문인력 부족(36.3%), 콘텐츠 부족 등의 의견도 나왔다.

전반적으로 IPv6 전환 대비가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수치다. 비용와 인력 투자를 꺼리고 있는 것에는 IPv4 주소가 부족한 것이 피부에 와 닿지 못하고 시장성 역시 미비하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콘텐츠제공업체들처럼 상대적으로 IPv4 주소가 부족하다고 덜 느낄수록 적극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있고, 기업들도 IPv6 장비를 운영하고 있어도 기술 및 보안성 검증 미비를 이유로 실제 사용에는 소극적인 상황이다.

IPv6 전환은 PC, 휴대폰 등 사용자 단말이 인터넷서비스를 이용할 때와 같이 인터넷 데이터가 지나가는 모든 장비들이 IPv6주소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ISP 인터넷교환설비(IX)에서부터 백본망, 가입자망 네트워크 장비, 포탈 등 서비스제공업체들의 웹, 메신저, IPTV, 인터넷전화(VoIP), 게임 등과 네트워크·보안 장비, 공공기관·기업의 내부 인프라망, 이용자 PC·단말까지 모든 분야에 IPv6가 제공돼야 한다. IP주소가 사용되는 하드웨어의 업그레이드, 소프트웨어 수정 등 모든 시스템에 변경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라우터와 스위치, 방화벽과 같은 네트워크 장비와 기본 네트워크 보안 장비는 대부분 IPv6를 지원한다. 하지만 전체 보안 제품의 경우, 지원이 크게 미비한 상태다. 지난해 KISA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 CC(국제공통평가기준) 인증 정보보호 장비 197개 중 IPv6가 적용된 제품은 30개로 15%에 불과하다.  

IPv6 전환 정책을 지원하는 정현철 KISA 인터넷주소센터(KRNIC) IP주소팀장은 “IPv6 전환은 ISP, 콘텐츠·서비스제공업체, 네트워크 장비 제조사, 보안업체, 공공·기업 수요기관까지 모든 이해관계자가 동참해야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정 팀장은 “지금까지는 서로 저쪽에서 먼저 구축해야 나도 하겠다는 식으로 ‘치킨앤에그 게임’ 양상을 띠기도 했다. 최근 들어 스마트기기가 급증하면서 IP 부족 문제를 실감하고 있는 이동통신사에서부터 IPv6 인프라를 구축하고 서비스를 제공해 콘텐츠 등 다른 분야로도 확산될 수 있는 선순환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최근 들어 통신사를 주축으로 IPv6 대비에 적극 나서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스마트폰·스마트패드 등 한 사람이 여러대 단말을 사용하면서 모바일 기기 사용이 급증하면서 IP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IPv6를 지원하는 단말도 출시되고 있다.

가입자가 가장 많은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KT 등 통신사들은 부족한 IPv4 주소에 대비하고 IPv6 환경에서 IPv4 서비스까지도 수용할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기술 도입을 진행하고 있다. IPv6와 IPv4 주소를 서로 변환할 수 있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IPv4 네트워크를 경유해 IPv6 네트워크 간 통신을 지원하는 터널링(Tunneling) 기술 등을 활용해 IPv4와 IPv6 인터넷 공존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네트워크 업계 관계자는 “아직 통신망에서 IPv6가 준비되지 않았고, 망이 준비되더라도 서비스 업체들이 소극적인 상황이다. 우선은 IPv4로 변환하거나 서로 통신할 수 있는 과도기적 기술이 필요하다”며, “SK텔레콤 등 이동통신사들이 최근 시범사업 형태로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유지 기자> yjlee@ddaily.co.kr

이유지 기자
webmaster@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