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신년기획] 국내 보안시장 볕들까? 불안·기대 ‘공존’
[2017년 기획/불확실성에 대응하라 – 보안①]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정유년 국내 보안시장 전망을 놓고 불안과 기대가 공존하고 있다.
한국 경제가 백척간두에 놓여 있고, 국정 불안과 정치 리스크는 점점 커지고 있다. 이에 국내 보안시장도 덩달아 어려운 위기에 봉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동시에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사물인터넷(IoT) 등 신산업 발전과 더불어 보안시장에도 새로운 먹거리가 등장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존재한다.
그러나 장밋빛 전망에만 기대기에는 국내 상황이 녹록지 않다. 통상적으로 경제상황이 어려워지면 비용부터 줄인다. 안타깝게도 국내 상당수 조직들은 보안영역을 투자가 아닌 비용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8%로 하향 조정했으며, 한국개발연구원이 발표한 경제전망에서도 2.4%로 나타났다. 산업은행은 2.6%, 현대경제연구원 2.3%, LG경제연구원 2.2%, 기획재정부 2.6% 등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3년 연속 2%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셈이다.
불안한 정국도 보안시장에게 악재로 작용된다. 국내 보안업체들은 절대적으로 공공시장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군소 보안업체들은 정부 사업 하나로 생명 유지를 하는 곳도 비일비재하다. 규모가 있는 국내 보안업체들도 지자체, 공공기관을 비롯한 공공부문에서 내놓는 보안 사업이 매출의 상당수를 차지한다.
탄핵 소추안이 가결돼 박근혜 대통령 직무는 정지됐다. 곳곳에서 최순실 게이트가 터지고 있으며 문체부를 비롯한 정부부처 및 공무원 비리 등 후폭풍이 몰아치고 있다. 최순실 게이트와 연관된 것으로 추정되는 공공사업은 중단 위기에 놓여있다.
전국지방선거만 있어도 공공기관과 지자체의 예산 집행이 수월하지 않은데, 올해는 대선이 앞당겨 치러질 예정이다. 대선 이후에는 부처에 대한 조직개편까지 이뤄지기 마련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공기관이 사업을 자유롭게 펼치며 예산을 집행할 수 있는 분위기는 일단 아니라는 것이다.
실제로, 올해 범부처 정보보호예산은 지난해보다 줄었다. 지난해 정보보호 예산(지자체 제외)은 총 3379억원이었는데, 올해 예산은 3102억원으로 277억원 감소했다.
또한, 글로벌 보안업체들의 공공시장 진입 시도도 거세지고 있다. 공공시장 영역까지 글로벌 보안업체들이 본격 진출하게 된다면 이 영역에 의존하고 있던 국내 보안업체들의 밥그릇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기회는 존재한다. 기관과 기업, 나아가 국가를 대상으로 한 사이버위협은 점점 커지고 있다. 새롭게 부상한 클라우드, 빅데이터, IoT, 커넥티드카, 스마트홈 등 신산업에 대한 보안 요구도 충족시켜야 한다.
최근 국방부 해킹 사태처럼 한국의 주요 정부기관 및 기반시설 등을 노리는 사이버공격 위험 수위는 갈수록 고도화·정교화 될 전망이다. 사회 혼란 및 정치적 의도를 가진 공격도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맞춤형 표적 공격은 산업 전반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는 더욱 다양한 IoT 기기가 선보일 예정이며 기존 IoT 기기들도 기능이 고도화된다. IoT 시장 규모는 연평균 전세계 28.8%, 국내 38.5% 급성장 전망이다. 스마트홈, 커넥티드카, 스마트시티 등 IoT 기기 보급은 2021년까지 160억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IoT 악성코드 공격 IP 중 전세계 10위를 차지하고 있다. IoT 취약점을 통한 디도스(DDoS) 공격 등이 이뤄지고 있는 만큼, 다양한 보안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사이버보안 분야에서는 빅데이터, AI, 클라우드 등 새로운 기술을 활용해 사이버위협에 대한 예측 역량이 신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올해 정보보안산업 시장 성장 전망은 지난해 11월 기준 2조1000억원에서 소폭 상승한 2조3000억원이다. 국내 정세가 불안하지만, 새롭게 부상하는 산업과 기술에 발맞춰 경쟁력을 갖춘다면 희망은 있다.
한 보안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특히 불안한 정국과 경제 상황으로 인해 정보보안시장에 대한 전망이 어두운 것은 사실이며, 몇 년간 시설투자 등이 감소하면서 자연스레 소프트웨어와 보안에 대한 투자도 줄어들어왔다”며 “하지만, 원천기술과 경쟁력을 갖고 있는 기업은 가능성을 엿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국민연금, 고려아연 ‘집중투표제’ 지지… 법원 판단만 남아
2025-01-19 15:31:10공정・투명한 '공매도'위한 가이드라인 최종안 마련… 금감원 "3월말까지 전산화 완성"
2025-01-19 14:20:28알뜰폰 업계, 갤럭시S25 가입자 사전유치 경쟁 ‘후끈’
2025-01-19 13:16:35주담대 채무불이행자 비율도 '상호금융'업권이 가장 높아…"종합 리스크관리강화 필요"
2025-01-19 1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