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장·예약 문의로 위장한 랜섬웨어 ‘주의’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이스트시큐리티(대표 정상원)는 바로가기(*.lnk) 파일을 활용해 ‘비너스락커’ 변종 랜섬웨어 작동을 유도하는 악성 이메일이 유포되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에 따르면 이번 공격은 지난해 말부터 국내 특정 기관 및 기업 임직원을 상대로 유포된 비너스락커 랜섬웨어 공격의 연장선상으로 볼 수 있으며, 최근 블로그 운영자들을 상대로 한 원격제어(RAT) 공격 역시 같은 방식이다.
공격자가 발송한 악성 이메일에는 신분증 등 사진 파일 형태(*.jpg)로 확장자가 위장된 실행 파일과 문서 파일(*.doc)로 보이도록 만든 바로가기 파일이 포함된 압축 파일이 첨부돼 있다.
메일 수신자가 첨부된 파일의 압축을 해제한 뒤 문서 파일로 위장된 바로가기 파일을 실행할 경우, 사진 파일로 위장된 실행 파일이 자동으로 작동해 랜섬웨어에 감염된다.
특히 이번 공격은 윈도 운영체제(OS)가 ‘확장자명 숨김 처리’를 기본 설정으로 돼있는 점을 악용해 ‘지원서.doc.lnk’, ‘룸사진2.jpg.lnk’ 등 이중 확장자명으로 파일을 조작하는 기법을 사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윈도 운영체제의 기본 설정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PC폴더에서는 이중 확장자명으로 조작된 첨부 파일이 실제 확장자인 바로가기(*.lnk)가 생략돼 ‘지원서.doc’ 등으로 보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문서나 사진 파일로 오인할 가능성이 커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김준섭 이스트시큐리티 부사장은 “랜섬웨어가 사이버 공격자들의 주요 돈벌이 수단이 되면서 올해는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된 랜섬웨어 공격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사진, 문서 등 자신의 소중한 자료를 지키기 위해서는 백신 사용, 자료 백업 등 사용자 스스로 보안 수칙을 준수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알약에서는 이번 피싱 공격에 사용된 악성 파일을 ‘Trojan.Bafometos, Backdoor.Androm.gen’ 등의 이름으로 탐지 및 치료하고 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IT백과] 생성형AI의 진화 ‘AI 에이전트’, 기존 AI 비서와 뭐가 다를까?
2024-12-21 13:27:59[종합] AI 초격차 확보 공고히 한 오픈AI…12일간 여정 끝엔 ‘쩐의전쟁’ 남았다
2024-12-21 11:15:25오픈AI, o1보다 더 강력한 o3 예고…개발자·연구자 대상 사전 테스트 실시
2024-12-21 08:0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