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무니없이 낮은 금액’ 국방부 백신사업...외면받은 사업설명회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국방부 백신사업이 ‘빛 좋은 개살구’로 전락하며 보안기업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 감당해야 하는 리스크와 업무량에 비해 적은 예산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입찰까지 한 달가량이 남았지만, 주요 백신사들이 하나 둘 씩 포기선언을 하고 있어 유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방부는 ‘2017년 전군바이러스 방역체계(내부망) 구축사업’ 입찰공고를 내고 지난 13일 사업설명회를 열었다. 하지만,업계에 다르면 이날 사업설명회를 찾은 보안기업은 단 두 곳에 불과했다.
이 중 한 곳은 외부망 사업을 위해 참여한 외산 백신사로, 아직 외부망에 대한 입찰 공고가 나지 않아 구체적인 내용을 묻기 위해 우선 참석해 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공고한 내부망 사업의 경우, 국내 보안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소프트웨어 품질성능 평가시험(BMT) 참여의향서를 제출한 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열린 이 설명회에 참여한 국내 보안기업은 결국 단 한 곳뿐이었다.
국방부는 지난해 9월 발생한 국방망 해킹사건에 대응해 새로운 백신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 국방부는 내부망과 외부망을 분리해 망별 상이한 백신 제품을 운용키로 했다. 내부망은 국산 백신사들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외부망은 외산제품에도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먼저 공고된 내부망 사업의 경우, 선정된 사업자는 오는 12월부터 2019년말까지 약 2년간 바이러스 방역체계를 구축한다. 내부망 사업예산은 약 31억7800만원이며, 외부망은 약 10억원으로 추정된다.
이전의 17억원 예산에 비해 대폭 늘었지만 업계 반응은 여전히 싸늘하다. 예산이 40억원대로 늘어났어도 여전히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국방부 내부망 사업의 경우 안랩, 이스트시큐리티, SGA솔루션즈, 잉카인터넷 등이 후보 사업자로 꼽혔는데 이들 모두 사업설명회에 참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중 몇몇 사업자는 이번 사업에 참여할 의사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외부망에 관심을 보이던 외산 백신사들도 주저하고 있다. 국내 공공기관 진출을 확대하고 새로운 보안위협 샘플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기회지만, 수익성 측면을 고려했을 때 부정적인 결론을 내고 있다.
국내 보안기업 관계자는 “리스크가 너무 크기 때문에 100억원은 줘야 예산으로 보상받을 수 있겠구나 싶다”며 “커스터마이징 등 국방부의 요구사항이 많고 전국을 방문해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인력 및 유지보수 비용도 부담스러운데 보안사고에 대한 책임은 사업자에게 묻고 있어 다들 꺼려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방부는 해커들의 주요 타깃이기 때문에 백신사에 대한 공격이 함께 진행된다”며 “100% 완벽한 보안은 없기 때문에 혹시라도 뚫리게 되면 책임문제에서 벗어날 수 없어 브랜드 이미지에도 큰 타격을 받게 된다”고 덧붙였다.
전국 각지를 돌며 기존 백신 솔루션과 서버를 제거하고 새로운 백신체계로 구축해야 하는데, 여기에 투입되는 장비 및 인력에 대한 비용, 유지보수 비용 등이 꽤나 들어간다는 설명이다. 특히, 문제가 생기면 오지산간·잠수함 등을 가리지 않고 방문해 해결해야 한다. 국방부 사업은 “예산이 많아도 결과는 적자”라는 오명이 여기에 있다.
또한, 해킹 등 보안위협에 따른 문제가 발생하면 항상 백신사의 책임으로 돌려지는 것도 보안기업들이 이 사업에 주저하는 이유 중 하나다. 시스템이 뚫리는 까닭은 여럿 있다. 100% 완벽한 보안도 없다. 보안제품 문제뿐 아니라 관리소홀 등도 문제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결국 탓은 백신사에게 돌아오는 구조라는 지적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정부 산하기관과 보안기업 몇 군데를 컨소시엄으로 묶어 국방부 백신사업을 추진하는 방안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아이디어에 불과한 상황이라, 국방부에서 실체 추진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국방부도 새로운 장관이 취임하며 변화를 앞두고 있다. 사이버안보 정책과 조직개편 등이 발표되지 않은 상태에서 의사결정을 내리기 쉽지 않다는 전언이다.
보안업계 관계자는 “국방부에서 원하는 사업자들은 발을 빼고 있어 유찰 가능성도 높아 보인다”며 “대부분 사업자가 이번 국방부 백신사업에 참여의사를 밝히지 않고 있어, 사업을 진행하는 국방부 입장에서도 난처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을 보탰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와이즈넛, 코스닥 상장 본격 시동…2025년 1월 상장 목표
2024-11-22 09:26:21해킹·개인정보 유출에 '속앓이'…정보보호 담당자가 확인할 체크리스트는?
2024-11-22 08:49:13[LG 임원인사] ② '전원 유임' 안정 택한 소부장 사각 편대…미래 효율 강화 '방점'
2024-11-21 18:43:49[LG 임원인사] ① '기업가치 동분서주' 조주완 LG전자 유임…유니콘 사업 '탄력'
2024-11-21 18:43:39LG헬로 송구영 대표이사 재선임…사업 수익성 개선 '총력'
2024-11-21 18:3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