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블록체인 혁신] KEB하나은행 "쿠폰 등 개인 디지털자산, 해외서도 손쉽게 사용
예를들어 로열티 포인트는 금융기관의 디지털 화폐 및 사업자 등이 제공하는 로열티, 마일리지, 쿠폰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항공 마일리지다. 항공 마일리지는 현금화할 때 높은 교환비중을 가지고 있다.
김경호 부장에 따르면, 이런 디지털 자산은 사용처가 한정돼 있다. KEB하나은행은 마일리지를 언제든지 현금처럼 꺼내 쓸 수 있고 해외에서 물건을 구매할 때 발급되는 현지에서만 사용가능한 포인트를 국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개념의 디지털 자산 허브 가능성에 주목했다.
김 부장은 “세계적으로 이러한 디지털 자산을 송금할 수 있는 서비스에 주목하고 있다. 이 시장이 생각보다 크다. 일본의 라쿠텐이 자신들의 포인트를 기반으로 코인을 만들겠다고 하는 등 업체들이 이 시장에 관심이 높다”고 설명했다.
GLN에서 교환 결제되는 디지털 자산은 암호화화폐, 은행 등 발행 주체가 있는 디지털 화폐 및 마일리지 등 로열티와 쿠폰을 교환하는 형태다. 단순히 결제만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앱에서 현지 언어를 지원하고 번역까지 지원하는 생태계를 강조하고 있다. 보다 인간적인 서비스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국민이 해외에 여행 갔을 때 현지에서 발행되는 쿠폰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KEB하나은행은 GLN에 쿠폰몰을 만들어 해외 현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쿠폰을 제공할 계획이다.
GLN을 통해 디지털 자산의 사용가치를 경험한 고객은 제휴 회사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지고 글로벌 플랫폼 참여를 통해 새로운 블루오션을 선점할 수 있다.
또, 고객은 적립 및 사용을 통해 디지털 자산을 현금화 할 수 있고 글로벌 소비 동선에 맞는 각종 편의 및 서비스 수혜 대상이 될 수 있다. 기업 입장에선 글로벌 지급결제 인프라를 공유하고 GNL 플랫폼이 고비용의 글로벌 네트워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글로벌 네트워크 비용을 절감을 위해 KEB하나은행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GLN 파트너 시스템 간 연계를 진행한다. 김 부장은 “네트워크를 위한 각 나라별 파트너들과 개념검증(PoC)를 진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관련하여 대만의 타이신 뱅크와 원장과 별도로 하나의 블록체인 레이어를 만들어서 원장 대조와 이체 과정 등을 검증했다. 레거시 시스템에서 양 은행 간 거래가 진행되면 이러한 정보를 블록체인 레이어에 기록하고 검증하는 방식이다.
향후 GLN의 생태계에서 원활한 결제 및 정산을 위해 ‘G코인’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은행들끼리 정산을 위해 사용되는 코인을 만드는 개념이다.
김 부장은 “은행 간 송금이 실시간으로 이뤄졌다는 정보(데이터)를 양 은행이 알더라 하더라도 대금은 별도로 지급해야 한다. 계약과 동시에 화폐가 이동하기 위해선 암호 화폐를 통해 정산작업이 이뤄지면 보다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국민 절반 이상 “구글에 정밀지도 반출 반대”…안보·주권 우려가 가장 커
2025-04-22 19:54:05"이젠 기업이 선택받는 시대…초핵심 인재 확보가 성패 가른다"(종합)
2025-04-22 17:51:03[DD퇴근길] "11일만에 매출 100억"…넷마블, 'RF온라인'으로 재도약 시동
2025-04-22 17:09:02LG전자, 도요타 ‘우수 공급사’ 선정…"전장공급 역량 인정"
2025-04-22 17: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