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이미지 검색’ 구글보다 중국이 앞서…네이버 비책은?

이대호
- 중국 타오바오, 이미지 검색 품질서 첫손 꼽혀…데이터 규모서 압도적
- 강유훈 네이버 스마트렌즈 리더 “기발한 방법 고민, 올해 내 시도”

[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비슷한 이미지를 찾아내는 비주얼 서치 분야에서 중국이 앞서나가고 있다. 네이버의 비주얼 서치 기술 개발을 담당하는 강유훈 스마트렌즈 테크리더<사진>가 중국의 기술 수준을 인정했다. 그는 구글보다 중국 타오바오가 이미지 검색 품질 수준에서 앞섰다고 봤다.

강유훈 리더는 25일 네이버 D2스타트업팩토리 테크포럼을 통해 인공지능(AI) 기반 이미지 검색 기술과 관련 “구글보다 중국이 무서울 거 같다”고 말했다. 강 리더가 먼저 중국의 검색엔진을 언급하진 않았지만 “타오바오 아니냐”는 질의에 “그렇다”고 답했다.

네이버는 모바일 검색창 내 적용한 스마트렌즈를 통해 이미지 검색 서비스를 하고 있다. 주요 데이터 커버리지는 블로그와 카페 등 사용자제작콘텐츠(UGC) 서비스에 올라간 이미지들이다. 구글렌즈의 경우 유사 이미지보다 정답을 알려주려는 취지에다 자체 보유 콘텐츠가 없다보니 스마트렌즈와 비교가 쉽지 않다. 강 리더도 “비교를 잘 할 수가 없다”면서도 구글의 기술력에 대해선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런 강 리더가 구글보다 앞섰다고 보는 게 중국의 타오바오다. 타오바오에선 스마트렌즈와 비슷한 서비스도 하고 있다. 그는 스마트렌즈의 검색 품질 점수를 50~70점 사이, 타오바오를 75점 정도로 평가했다. 강 리더는 현재 네이버가 준비 중인 비주얼 서치 기술을 적용하면 스마트렌즈도 70점 수준으로 올라갈 것으로 봤다. 강 리더 발표대로라면 특단의 대책 없이는 중국과 기술 격차를 좁힐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중국이 이처럼 앞서나가는 이유는 풍부한 인공지능(AI) 연구 인력과 함께 비교 불가한 데이터 커버리지 때문이다. 중국 내 인터넷 이용자들이 수많은 이미지 데이터를 등록 중인데다 쇼핑의 경우 중국 오픈마켓 판매자들이 국내 이미지까지 도용해 올려버리기 때문이다. 학습데이터셋과 모델링 기술이 비슷한 수준이라면 이미지 데이터를 많이 확보한 쪽이 검색 품질을 끌어올리가 유리하다.

강 리더는 중국 업체를 “어그레시브(공격적)하다”고 표현했다. 그는 “네이버 쇼핑 이미지를 가져간다. 문제가 될 만한데 거기 셀러들이 그렇게 한다”며 “데이터 커버리지 측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현황을 전했다.

그는 비주얼 서치 분야에서 한국과 중국 간 기술 격차가 점점 벌어질 것이란 우려에 대해 충분히 공감했다.

강 리더는 “데이터 커버리지는 모자랄 수밖에 없다”면서도 “전략적으로 고민하는 아이템이 있다”, “어떤 기발한 방법을 써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까 회사 내에서 고민을 많이 하고 올해 내 그런 시도가 있지 않을까 한다”고 힘줘 말했다.

네이버는 네이버랩스유럽(옛 제록스리서치센터유럽)과 비주얼 서치 연구 성과를 교류를 하는데다 연내에 그동안 개발한 기술을 적용한다 .

그는 ‘기발한 방법’과 관련한 시도에 대해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다. 연내 이미지 검색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적용을 앞둔 기술을 가리킨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기발한 방법이 그 외 정책 변화나 제휴를 의미하는 것인지에 물었으나 “답하기가 어렵다”며 말을 아꼈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이대호
webmaster@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