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라이트닷넷

[딜라이트닷넷] 삼성·LG, 스마트폰 위기의 원인과 해법은?①…삼성전자, ‘수익 극대화→박

윤상호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가 2분기 스마트폰 실적을 공개했다. 삼성전자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정보기술 및 모바일(IM)부문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 각각 24조원과 2조6700억원을 달성했다. 매출액은 전기대비 15.6% 전년동기대비 20.0%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전기대비 29.2% 전년동기대비 34.2% 줄었다. LG전자 스마트폰을 맡은 모바일커뮤니케이션스(MC)사업본부는 K-IFRS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손실 각각 2조723억원과 1854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전기대비 4% 전년동기대비 19% 축소했다. 영업손실은 전기대비 493억원 전년동기대비 457억원 증가했다. 13분기 연속 적자다.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2분기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각각 7150만대와 950만대다. 삼성전자는 전기대비 8.6% 전년동기대비 10.1% 하락했다. LG전자는 전기대비 16.7% 전년동기대비 28.6% 떨어졌다. 점유율은 삼성전자 20.4% LG전자 2.7%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모두 위기다.

삼성전자의 위기는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세계 1위임에도 불구 주도권을 잡는데 실패한 점에서 기인했다. 유통과 제품 한 쪽도 잡지 못했다. 애플이 만든 신질서 편입을 원했지만 실패했다.

애플은 ‘아이폰’을 통해 유통과 제품 관행을 깼다. 모바일은 제품과 서비스 모두 통신사 중심으로 유통됐다. 통신사가 선택한 제품과 서비스가 소비자를 만날 수 있었다. 애플은 통신사 요구를 수용치 않았다. ▲전 세계 동일 모델 공급 ▲통신사 서비스 선탑재 배제가 대표적이다. ▲공급망관리(SCM) 단순화 ▲소프트웨어(SW) 개발 일원화 등을 통해 원가를 절감했다. 또 ▲신제품 출시 간격 정례화 ▲신기술 채용 최소화 등 판매기간 극대화와 개발 효율 최적화를 통해 수익을 극대화했다. 그럼에도 불구 충성 고객을 다수 확보 선순환 구조 창출에 성공했다.

삼성전자가 글로벌 동일 모델을 처음 공급한 것은 2012년 ‘갤럭시S3’이다. 애플의 대항마를 찾던 전 세계 통신사와 이해관계가 맞았다. 갤럭시S3은 단일 기종 처음으로 애플 경쟁 제품 판매량을 제쳤다. 애플이 이 시기 삼성전자와 특허소송을 본격 확대했던 것은 애플 역시 삼성전자의 기세가 만만치 않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통신사와 관계를 재정립할 호기를 얻었다. 하지만 2013년 ‘갤럭시S4’ 2014년 ‘갤럭시S5'의 부진이 발목을 잡았다. 통신사도 애플의 대안을 원했지 제2의 애플을 원하진 않았다.

통신사 앱을 내장하지 않는 애플과 내장하는 삼성전자의 차이는 매우 크다. 단순화 하면 전 세계 200개 통신사 출시 제품 SW 시험을 애플은 1번만 하면 되지만 삼성전자는 200번을 해야 한다. 통신사 앱은 1개가 아니다. 애플에 비해 삼성전자 SW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더구나 삼성전자는 운영체제(OS)도 자체 개발한 것도 아니다. 더구나 애플에 비해 삼성전자는 많은 제품군을 운영한다. 판매량이 많아도 수익이 적을 수밖에 없다.

애플은 스마트폰에 최신 기술을 채용한 적이 없다. 범용 기술을 내장하지만 편의성을 극대화한다. 디자인은 매번 비슷하다. 얼핏 보면 제품을 구분하기 어렵다. ‘아이폰X(10)’만 달랐다. 2016년 ‘갤럭시노트7’ 폭발은 삼성전자를 신기술 탑재에 보수적인 태도를 취하게 했다. 세계 1위라는 위치와 브랜드에 대한 자신감 등도 영향을 미쳤다. 사양 경쟁보다 완성도 경쟁을 해도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여겼다.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은 비용을 줄이는데도 유리하다. 2018년 ‘갤럭시S9’가 이런 생각을 반영한 제품이다. ‘갤럭시S8’과 외양은 비슷하다. 삼성전자는 써 보면 차이를 느낄 수 있다고 했다. 체험 마케팅을 확대했다. 체험관 방문자는 역대 최고 수준을 보였다. 결과는 2분기 실적이다. 소비자가 삼성전자 갤럭시S 시리즈에게 원한 가치는 ‘새로움’이었다.

삼성전자는 2018년 2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합리적 가격 ▲가성비 ▲신기술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향후 삼성전자의 방향은 규모의 경제를 앞세운 ‘박리다매’다. 세계 1위 그 자체를 경쟁력으로 활용하는 전략이다. 일반폰 시대 노키아가 그랬던 것처럼 1위를 지키는데 가장 유용한 방법이다. 삼성전자와 계열사 사업구조를 감안하면 1위만 지켜도 얻을 것이 많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윤상호
crow@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