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

'뱅크사인' 이후, 금융권 블록체인 확장 아이템은?

이상일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27일 블록체인 기반의 은행공동인증서비스인 ‘뱅크사인(BankSign)’ 이 오픈했다. 뱅크사인은 공인인증서를 대체하는 새로운 인증서비스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하지만 관련업계에서는 은행권의 본격적인 블록체인 적용의 첫 발을 떼는 사업이라는 점에 보다 주목하고 있다.

‘뱅크사인’은 공개키(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 기술, 블록체인 기술, 스마트폰 기술 등 첨단기술의 장점을 활용해 전자거래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인 인증서비스다. 은행연합회측은 “은행권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첫 번째 공동사업이라는 의의가 있다”고 강조한다.

김태영 은행연합회회장도 27일 은행연합회관에서 열린 시연회 자리에서 “이번 사업은 은행권에 블록체인 플랫폼을 구축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인증업무에 블록체인을 적용함으로서 향후 블록체인 관련 사업을 확장하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밝혔다.

단순히 은행권의 블록체인 사업이 뱅크사인에 그치지 않을 것이란 점을 의미한다. 이미 은행권 공동 금융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는 금융결제원은 블록체인의 금융 서비스 적용을 위해 ▲지급정산 적용 ▲정보중계 ▲스마트채권 등에도 블록체인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

지급정산 업무 블록체인 적용에 관해서 금융결제원은 블록체인 상에서 수취은행과 지급거래를 사전 합의하고, 해당 거래내역을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지급지시와 순이체한도(다른 은행에 지급요청한 금액 – 다른 은행으로부터 고객앞 지급요청을 받은 금액) 초과 여부에 대한 실시간 확인과 한도 변경 등 한도관리 등 적용 타진하고 있다.

한국은행에서도 한은금융망에서 이뤄지는 업무 중 은행 간 이체자금이체 업무를 분산원장에서 설계하고 운영하는 사업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분산원장기술 기반 은행 간 자금이체시스템의 효율성과 회복성, 보안성, 확장성을 평가했다.

개별 금융사 차원의 블록체인 적용도 속도를 내고 있다. 하나금융그룹은 글로벌로열티네트워크(GNL)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GLN은 디지털 자산을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글로벌 컨소시엄 참여업체(은행, 가맹점 등)들 간의 네트워크로 만들고, 이를 블록체인 기반에서 운용한다.

신한은행은 KT와 함께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 별로 도입하고 있는 지역상품권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는 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KT는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 개발과 네트워크 인프라 분야를 담당하고 신한은행은 플랫폼을 활용한 금융 서비스와 플랫폼 내 결제 및 정산 기능의 개발을 맡게 된다.

뱅크사인보다 한발 앞서 ‘체인아이디’라는 금융투자업권 공동 인증서비스를 선보인 바 있는 금융투자협회도 문서공유, 포스트 트레이딩 등 1차 사업과제에서 검토됐었던 분야를 토대로 후기 사업을 추진 중이다. 우선 올 하반기부터 2019년까지 금융투자상품의 청산결제 분야의 블록체인 도입을 검토한다.

청산결제 업무의 자동화 및 자동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포스트-트레이딩 시간 단축으로 유동성 리스크 감소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0년부터는 장외채권, OTC 파생상품 등 금융투자상품의 거래에도 블록체인 도입에 나설 계획이다. 금융투자상품 거래시스템에 대한 블록체인 도입과 대체거래 시스템(ATS) 도입, 자금세탁방지(AML)에도 블록체인 도입 여부 등을 타진한다는 계획이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이상일
2401@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