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IT

금융사업 손 떼는 롯데그룹, 생활금융 플랫폼 후속 전략은?

이상일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롯데그룹이 금융업에서 손을 뗀다. 27일 롯데지주에 따르면 롯데는 최근 롯데손해보험과 롯데카드 매각방침을 확정했다. 이는 일반 지주회사가 금융계열사를 소유할 수 없다는 금산분리 원칙에 따른 롯데그룹의 고육지책이다.

카드와 보험업계가 각각 수수료 인하와 국제회계기준(IFRS) 반영에 따라 시장의 지형도가 바뀌고 있는 상황이긴 하지만 그룹사 내에 금융사가 있고 없고는 상당한 차이가 있게 마련이다. 금융이 생활 속으로 들어오고 있는 ‘생활금융’시대에 금융사, 특히 카드사의 경우 지급결제 부분에서 다양한 산업군으로 접목할 수 있는 혁신 서비스 창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물론 롯데카드의 경우 국내 7개 전업 카드사 중 6위로 하위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수익성도 매년 줄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정부의 카드 수수료 인하 등의 악재로 카드사의 미래 전망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롯데그룹의 경우 지난해 10월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공정거래법 관련 규정에 따라 2019년 10월까지 금융계열사 지분을 모두 처분해야 한다. 카드가 도움이 되건 안 되건 일단 매각해야 하는 상황이다.

롯데카드가 없더라도 생활금융 플랫폼으로서의 전략은 유효하다. 특히 유통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롯데그룹은 그동안 금융권과의 협력을 통해 생활금융플랫폼 전략을 구사해 왔다. 롯데는 BNK금융그룹의 대주주로 썸뱅크 제휴, 롯데피에스넷의 금융자동화기기 연동 등 금융 서비스에서 협력하고 있다.

또, 카카오뱅크와 손을 잡고 유통과 금융 서비스의 공동 개발에 나서 카카오뱅크 이용자는 롯데백화점에서 쉽게 결제를 할 수 있고, 세븐일레븐에 있는 현금지급기(ATM)도 이용도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여기에 롯데그룹은 롯데카드에서 분사한 ‘롯데멤버스’를 통해 간편결제 등 금융 오픈 플랫폼의 역량을 결집할 것으로 보인다. 롯데카드 산하 사업부로 출범한 롯데멤버스는 지난 2015년 롯데카드에서 분사했다.

롯데멤버스는 간편결제 서비스인 ‘엘페이(L.PAY)’그룹사 통합 포인트인 ‘엘포인트(L.POINT)’ 운영을 전담하고 있다. 비금융사업자이지만 PG사로서 최근 생활금융플랫폼의 필수인 결제와 포인트 관리 분야를 사업으로 갖는다. 롯데멤버스는 지난 6월 현재 엘페이 누적 상품 결제액 1조원을 달성한 바 있다.

또 카드사의 전유물이었던 결제 빅데이터 분석에 있어서도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 다시 말해 유통 계열사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뜻이다.

글로벌 시장 진출에 있어서도 유리하다. 현재 롯데멤버스는 국내 시장에 집중하고 있지만 롯데카드 해외법인 산하에 롯데멤버스차이나, 롯데멤버스베트남, 롯데멤버스인도네시아가 현지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롯데카드 종속회사인 이들 해외법인의 롯데멤버스로의 통합 등이 내부에서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실제 롯데멤버스는 향후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에서도 글로벌 멤버십 포인트 호환 서비스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선 롯데카드 종속회사인 롯데멤버스 해외법인들의 소속 변경이 필수적이다.

롯데카드 종속회사 중 하나인 이비카드, 마이비카드의 향방도 주목된다. 이비카드와 마이비카드는 교통 선불카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회사로 과거 부산경남 및 충청 지역 교통사업 독점권을 지니다 전국호환 이후 전국 버스를 대상으로 사업을 확대한 상태다.

특히 과거 선불카드가 교통시설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카드였다면 현재는 교통 외에 유통분야로 확대하고 있다. 양사가 서비스하고 있는 ‘캐시비 카드’의 경우 9월 말 현재 8만4553점 매장에서 지불이 가능하고 전국형 모바일 선불 교통카드인 ‘모바일 캐시비’는 서울, 경기 등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대중교통(버스,지하철 등)과 세븐일레븐, 바이더웨이 등의 편의점 및 롯데리아, 엔제리너스 등 유통가맹점에서 소액결제가 가능하다.

롯데그룹처럼 리테일 매장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결제 편의성 확보가 우선인데 이비카드와 마이비카드의 결제 인프라는 충분히 매력적이다. 다만 이비카드 관계자는 “이비카드가 롯데카드 자회사인만큼 이번 매각 대상에 같이 포함되어 있다”고 밝혔다.

<이상일 기자>2401@ddaily.co.kr

이상일
2401@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