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AI·빅데이터·클라우드 관련 정보화사업 비중 크게 확대"

채수웅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지능정보사회 구현을 위한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이 마련됐다. 인공지능 등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정보화 사업비중을 확대하는 한편 기업의 빅데이터 이용률을 높이는 등 데이터경제 활성화에 나선다.

정부는 12월 28일 제10회 정보통신전략위원회(위원장 이낙연 국무총리)에서 제6차 국가정보화기본계획, 클라우드 컴퓨팅 실행(ACT) 전략, 공공 소프트웨어(SW) 사업 원격지 SW개발 활성화 방안 등 정보통신 분야 주요 정책 3건을 심의하고 확정했다.

첫 안건인 지능정보사회 구현을 위한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은 2022년까지의 전략을 담고 있다.

현재 공공 정보시스템의 75%가 각 기관별로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지능형 시스템으로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다. 여기에 정보시스템 예산 중 인공지능을 활용한 사업 비중은 1% 미만이어서 맞춤형 지능형 서비스에 제한이 있다.

이에 인공지능·빅데이터·클라우드 등 지능정보기술을 적용하는 정보화사업 비중을 올해 18%에서 2022년까지 35%로 확대한다.

한편, 2018년 국가정보화 전체 사업규모는 5조2971억원이었으며 이 중 정보시스템 관련 예산은 약 3.2조원이었다. 여기서 인공지능 등 지능정보기술 활용 사업 비중은 21.4% 수준이었다.

또한 의료·복지·교육 분야에서 개인별 맞춤형 지능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범죄·재난 사전 예측·방지, 미세먼지 통합 관리 등에도 지능화 기술을 적용한다.

기업의 빅데이터 이용률도 높인다. 지능화 기반 혁신성장을 위해 데이터 구축‧개방 → 저장‧유통 → 분석‧활용 등 전 주기 지원을 통해 데이터 경제를 활성화 한다. 기업의 빅데이터 이용률도 2018년 9.5%에서 2022년까지 20%까지 높일 계획이다.

이와함께 디지털 포용사회 구현을 위해 소프트웨어 전문·융합인재를 2022년까지 2만명 육성하고 노인·장애인 대상 디지털 기술교육 강화, 지능정보사회 윤리규범을 마련한다.

특히, 디지털 불평등 해소를 위해 우체국·도서관 등을 정보화교육의 장으로 활용해 취약계층 정보역량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차세대 네트워크 상용화도 지원한다. 내년 3월 스마트폰 방식의 5세대(5G) 이동통신 무선 네트워크를 상용화하고 초연결 사회에서 지능화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10기가 유선 네트워크도 확충한다.

아울러 네트워크 품질과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통신구간 해킹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양자 암호통신 등을 도입하고, 통신재난 발생 시 조기 대응할 수 있는 통신재난 방지 대응체계를 마련한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채수웅
woong@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