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희 “5G 품질 기대에 못미쳐, 방통위 대책 필요”
반면 지난 6월 한국소비자연맹에서 조사한 5G 관련 소비자 불만 사항을 살펴보면 품질 관련 불만이 전체 불만건수 2055건 중 590건으로 약 29%에 달했다.
또한 영국 무선네트워크 시장조사기관 '오픈시그널'에 따르면 실제 5G 사용시간 비율은 약 12%에서 15% 수준으로 추산됐다. 다만 이 경우 측정 환경과 방법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국가나 사업자간 비교의 척도로 활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한국은 산간지역 중심 지형이 많고, 도심지역 밀집도가 높은 특성을 고려해 3.5Ghz 전국망을 구축한 후 스마트팩토리‧인구밀집지역 등을 중심으로 28Ghz를 상용화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현 시점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5G 품질 측정 발표를 준비하고 있다.
“해킹 피해 전부 보상”...과기정통부, SKT와 고객 피해 방지대책 협의
2025-04-27 19:37:29SKT “해킹피해 발생시 100%책임…유심보호서비스 믿어달라”
2025-04-27 19:30:40[대선 2025] 이재명, 대선후보로 선출…“AI 중심 시대·진짜 대한민국 시작”
2025-04-27 18:49:04'유심보호서비스' 관련 피싱·스미싱 공격 등장…정부, 2차피해 주의 권고
2025-04-27 17:35:21주말동안 ‘쑥’ 빠진 SKT 가입자…경쟁사 마케팅에 ‘진땀’
2025-04-27 16:5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