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악재에 KBS 수신료 인상 어디로 가나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엎친 데 덮친 격이요. 이쯤되면 사면초가다.
수신료 인상을 추진 중인 KBS에 잇달아 악재가 터지고 있다.
방송시장 환경 변화로 지상파 방송사들의 광고 수입이 급감하고 있는 가운데 KBS는 안정적 재원 마련을 위해 월 2500원인 수신료를 3840원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KBS 수신료는 1981년 2500원으로 결정된 이후 40년째 제자리에 머무르고 있다. 노무현 정부 이후 모든 정부가 인상을 추진했지만 야당의 반대에 국민들로부터 공감대도 형성하지 못하며 무산됐다. 올해도 상황은 녹록치 않다. 과거와 다른 점은 지상파 방송을 대체할 수 있는 콘텐츠 이용환경이 조성된데다 과거 어느때보다 국민적 실망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 잇달아 터지는 악재
KBS 이사회는 1월 27일 수신료 인상방안을 상정하고 본격적으로 수신료 인상 논의에 들어갔다. 방송통신위원회나 여당에서는 KBS 수신료 인상에 긍정적이다. 공영방송 책무를 다하기 위해서는 재무적으로 안정돼야 한다.
하지만 과거부터 지금까지 수신료 인상의 전제조건이 붙었다. 바로 KBS 내부의 치열한 '자구노력'이다. KBS 수신료는 전기요금에 함께 청구된다. 세금에 준하는 성격이다보니 국민적 동의는 필수다.
하지만 수신료 인상방안을 추진하자마자 악재가 여기저기서 출몰하고 있다. 먼저 연봉 1억원 이상의 고액연봉자가 절반에 달하는데다 전체 직원의 3분의 1 가량이 무보직자인데 대부분 연봉 1억원 이상의 고액연봉자들이다. 연봉에 걸맞지 않은 일을 하는 것이 알려지며 국민들의 차가운 시선에 직면했다.
여기에 KBS 한 직원이 직장이 커뮤니티에 “아무리 욕해봐야 정년보장에 평균연봉 1억원이고 부러우면 입사하라”라고 글을 올리며 기름을 부었다.
특히, 수신료의 경우 시청가구 수 증가로 10년간 1000억원이 늘어났는데 여전히 수신료 인상에만 매달린다는 지적도 나왔다.
최근에는 모 아나운서의 편파 방송 논란에 얼마전에는 설기획으로 방영한 '조선팝 어게인'의 배경화면에 일본식 고성이 등장해 논란이 됐다. 하필이면 주가가 치솟고 있는 이날치 밴드 무대에서 발생했다.
며칠이 멀다하고 터지는 악재에 야당은 물론, 국민의 시선도 차갑다. 미디어오늘과 리서치뷰의 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76%가 수신료 인상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팩트체크] SKT 해킹사고 관련 스미싱 문자, 어떻게 구분할까
2025-05-04 16:08:29국회입법조사처 “SKT 위약금 자발적 면제, 법적 문제 없을듯”
2025-05-04 16:07:40[툰설툰설] 피와 복수로 써내려가는 액션… ‘무장 – 무투전’ vs ‘무적자’"
2025-05-04 14:23:30“1600만 투자자 잡아라”… 불뿜는 ‘민주 vs 국힘’ 가상자산 공약 경쟁
2025-05-04 12:14:40SKT, 5일 신규가입 중단 시작…“유심교체, 온라인 예약자 우선”
2025-05-04 11:3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