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S 2021] 과기정통부 “K-사이버 방역, 새로운 디지털 안전망 구축”
[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코로나19로 비대면(언택트) 수요가 늘면서 국가 사회 전반의 디지털 대전환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디지털 안전망 구축도 굉장히 중요해졌는데, 정부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종합계획, K-사이버방역 추진 전략을 새롭게 마련했습니다.”
21일 디지털데일리는 온라인 세미나(웨비나) 플랫폼 DD튜브를 통해 사이버보안 컨퍼런스 ‘[NES 2021] 차세대 기업보안 버추얼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첫날 기조 발표를 맡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손승현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최신 보안 트렌드와 이에 대응하기위한 정부의 ‘K-사이버방역 추진전략’을 소개했다.
손 정책관은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정보보호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위협에 직면할 수 있는 세상이 됐기에 PC나 네트워크 중심의 보안체계에는 한계가 왔다. 새로운 환경에 걸맞은 디지털 안전망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작년 9월 발생한 독일 뒤셀도르프의 종합병원 사고를 예로 들었다. 병원의 정보기술(IT) 시스템이 랜섬웨어에 감염돼 마비됨으로 인해 응급환자를 받지 못했고, 다른 병원으로 이송하다가 도착 전 사망한 사고다. 사이버공격으로 인해 사람이 사망한 첫 공식 사례로 꼽힌다.
또 네트워크 관리 소프트웨어(SW) ‘솔라윈즈’ 해킹으로 인한 대규모 공급망 공격 사례도 언급했다. SW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솔라윈즈 서버에 백도어 기능을 하는 악성코드 선버스트(SUNBURST)를 심은 사건으로, 1만8000개 기업·기관이 피해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피해 대상에는 미국 국무부, 국토안보부, 국립보건원을 비롯해 핵무기를 담당하는 에너지부, 국가핵안보실(NNSA) 등도 포함됐다.
[대선 2025] “AI시대, 정책 낭비 그만” 외친 안철수·이준석…‘AI로 합심’
2025-04-25 17:59:53신한은행, '리딩뱅크' 지켰지만… KB국민·하나은행과 더 피말리는 경쟁 구도
2025-04-25 17:37:39구글 모회사 알파벳, 1분기 '깜짝 실적'…광고 부문 성장 견인
2025-04-25 17:09:06[DD퇴근길] 트럼프 주니어, 韓 찾는다…정용진 초청에 재계 총수 면담
2025-04-25 17:03:56기업은행, 1분기 순이익 8142억원… 중기 대출 힘입어 '사상 최대'
2025-04-25 16:4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