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우주로 향하는 누리호, 나로호와 무엇이 다를까
[디지털데일리 임재현기자] 누리호(KSLV-II)가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서 역사적인 순간을 기다리고 있다. 오늘(21일) 오후 4시께 발사가 예정돼 있으며, 정확한 발사 시간은 발사 1시간 30분 전 발표된다. 국내 300여개 업체, 500여명 인력이 투입돼 약 11년 간 개발 기간을 거친 누리호는 순수 국내 기술만으로 개발한 우주 발사체다.
첫 발사임을 고려해 3단 부분에 실제 위성 대신 모사체 위성(더미 위성)을 탑재하고 시도한다. 발사 성공 시 우리나라는 세계 7번째로 자력으로 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진 나라가 된다. 그러나 누리호가 우리나라 최초 우주 발사체인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는 이미 우주 발사체를 쏘아 올린 경험이 있다. 지난 2013년 쏘아 올려진 나로호(KSLV-I)가 세 번의 발사 시도 끝에 정상궤도 진입에 성공한 바 있다.
◆1.5t급 실용위성 누리호…나로호와 15배 차이
총길이 47.2m, 총중량 200t에 이르는 누리호는 총길이 33.5m, 총중량 140t 나로호보다 훨씬 거대하다. 투입 고도도 누리호는 600~800km로, 나로호의 300km보다 지구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가장 큰 차이는 엔진이다. 나로호는 2단 엔진으로 구성돼 있지만, 누리호는 3단 발사체다. 특히 75t급 액체엔진 4기로 구성된 누리호의 1단 엔진은 300t의 추력을 낼 수 있어, 탑재 중량이 1500kg로 나로호와 비교해 15배 늘어났다. 75t급 액체엔진 개발에 성공한 건 우리나라가 세계 7번째다.
카카오, AI 메이트 서비스 ‘카나나’ CBT 시작…개인화·그룹 기능 강화
2025-05-08 11:27:40“비용효율화 효과” LGU+, 올해 1분기 영업익 전년比 15.6%↑
2025-05-08 11:24:33롯데손보, 금융당국 제지에도 '후순위채 상환' 강행… "상환 자금여력 충분"
2025-05-08 11:10:41[컨콜] 카카오-오픈AI, 본격 협업 단계 진입…“에이전트 AI에 집중”
2025-05-08 10:5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