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반도체 위기 예언한 이종호 후보자…"추격·모방 벗어나야"
-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 2015년 ‘축적의 시간’ 발간
- 원광대 재직시절 핀펫 3D 반도체 기술 한국·미국 특허출원
- 국내기업 기술 외면, 인텔이 CPU에 적용해 한국기업 기회 날려
- 추격·모방 중심 한국 대기업, 선제적 지식 ·경험 축적 어려워
[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는 원광대 재직 시절인 2000년대 초반 카이스트와 핀펫(FinFET)이란 3D(3차원) 반도체 기술을 개발해 한국과 미국에 특허 출원 하고 국내 모 기업에 먼저 기술 이전을 제안했다. 1년 간 새로운 기술 도입의 당위성을 열정적으로 설명했으나 논의가 진척되진 못했다. 결국 인텔이 2011년 이 특허에 기반한 3차원 소자기술을 반도체(CPU) 생산에 적용했다. 60여 년의 반도체 역사에서 최초로 3차원 소자를 CPU 양산에 적용한 기업으로 기록된 것이다. 국내기업은 2000년대 초중반에 핀펫을 먼저 시작할 수 있었던 기회가 많았음에도 하지 않았다. 반도체 역사의 한 페이지를 한국기업이 당당하게 장식할 수 있었을 것이다. 충분히 1등을 할 수 있는 여유가 있었는데 결국은 2등을 한 셈이다.
윤석열 정부의 초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으로 임명된 ‘반도체 전문가’ 이종호 후보자가 지난 2015년 서울대 공대 교수 26명과 함께 한국 산업의 위기를 진단하고 미래의 방향을 제시한 저서 ‘축적의 시간’에서 대기업의 신기술 도입 의사결정에 대한 안타까움이 묻어난다.
이 책은 이정동 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가 공대 동료교수 26명을 인터뷰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인 이 후보자는 이 책에서 ‘반도체, 7~8년 뒤가 문제다’라는 주제로 이정동 교수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한국 반도체 산업의 현황과 중국의 도전 ▲창의적 도전의 필요성, ▲한국의 지적재산권 관련한 제도적 환경과 관행 ▲특허법 체계 개선 ▲3D 반도체 기술개발과 경험 ▲국가 연구개발(R&D) 시스템 개선 등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히고 있다.
반도체 설계 전공인 그의 인터뷰 내용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핀펫’이라는 3D 반도체 기술과 관련한 것이다. 그는 이 분야에서만 6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는 인텔의 트라이 게이트 모스펫과 동일한 기술로 이 교수는 한국과 미국에서 관련 특허출원을 먼저 했다.
인텔은 이 기술로 22nm 기반 중앙처리장치(CPU)인 코드명 아이비브릿지와 14nm 공정의 브로드웰 CPU를 양산해 판매했다. 그는 “이를 통해 기술이전 과정 자체에 대해 아주 유용한 경험을 얻게 됐다”면서도 국내 반도체 업체 기업에서 이를 먼저 채택하지 못한 것에 대해 안타까워했다.
카카오엔터 매각한다는 카카오, SM엔터까지? [IT클로즈업]
2025-04-09 11:47:38카카오엔터, 사모펀드에 매각 추진하나…노조 "공공성 위협 우려"
2025-04-09 11:22:46맞으면 더 세게 받아치는 美 트럼프…對中 관세 104%로 인상
2025-04-09 11:22:06타이거리서치, 곰블 게임즈 분석 보고서 발간… "하이퍼캐주얼 게임으로 웹3 산업 대중화 선도"
2025-04-09 11:19:05'관세'걱정없는 4대 금융… 올해 1분기 순이익 5조원 육박할 듯
2025-04-09 11:1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