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배터리 가격 또 오른다…전기차 대중화 지연 우려 확산

김도현
- 韓 배터리 3사, 양극재 비용 부담 2배↑
- 원자재 가격 연동 계약, 수익성 방어 가능 불구 전체 시장 위축 불가피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배터리 소재 단가 인상, 미국 전기차 보조금 대상 차종 축소….’

브레이크 없던 전기차 산업에 제동이 걸리기 시작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으로 전 세계 경기침체 국면에 진입한 데 이어 전기차 구매를 저해하는 요소가 나타난 탓이다.

23일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 가격은 3사 평균 약 2배 올랐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2년 상반기 양극재(소형 애플리케이션용 양극재)가 킬로그램(kg)당 42.37달러라고 밝혔다. kg당 2021년 21.81달러, 2022년 1분기 33.99달러로 증가세다. 반년 만에 2배 가까이 비싸졌다.

같은 기간 SK온은 2021년 kg당 2만7952원에서 2022년 상반기 6만7800원으로 2.4배 이상 뛰었다. 삼성SDI는 kg당 2021년 26.36달러에서 2022년 상반기 41.83달러로 상승했다.

업계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파우치용 양극재가 원통형, 각형 대비 가격이 높게 책정된다. 형태 특성상 에너지 밀도가 높은 제품이 투입되는 영향이다. 이 때문에 삼성SDI와 비교해서 LG에너지솔루션, SK온 인상 폭이 컸던 것으로 파악된다.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원통형 배터리 비중이 확대되면서 상대적으로 전량 파우치인 SK온보다 여파가 적었다.

양극재는 배터리 원가 40~50%를 차지한다. 단순 계산으로 양극재가 2배 비싸지면 배터리 몸값은 1.5배 내외 올라간다.

과거 배터리 단가는 수년간 고정적이었다. 전기차 시장이 크지 않을 뿐더러 광물 가격이 최근 1~2년처럼 높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2020년 말부터 리튬, 니켈 등 원자재값이 폭등하면서 지난해 4분기를 기점으로 배터리 가격 인상이 본격화 했다. 당시 평균가가 2~3% 높아졌는데 이는 10년 만의 인상으로 업계에서 체감하는 충격이 컸다. 올해 1월 들어서는 원통형 배터리가 예년 대비 8~10% 비싸졌다는 후문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계약은 통상 3~6개월마다 갱신된다. 상반기 양극재 등 인상률이 낮지 않았던 만큼 하반기 배터리 단가 향상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공급망 상황은 배터리 추가 인상이 불가피하다. 전기차 추가 가격 인상 가능성도 높아졌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트위터 갈무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트위터 갈무리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난주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과시켰다. IRA에는 북미 생산, 중국 소재 일정 비율 미만 사용 등을 충족한 전기차만 최대 1000만원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는 조항이 포함됐다. 기존 72개 차종이 세액공제 대상이었다면 법안 시행 후 21종으로 줄었다. 국내에서는 현대차 ‘아이오닉5’, 기아 ‘EV6’ 등이 빠지는 등 불똥이 튀었다.

소재 및 배터리 관련 원가 부담 상승으로 전기차 가격이 인상되는 가운데 보조금 범위가 축소되면서 전기차 시장에 먹구름이 꼈다. IRA 핵심 의도 중 하나는 ‘중국 배제’인데 전 세계 완성차업체가 반발할 정도로 단기간 내 해소가 어려운 과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7월 국내 기업의 수산화리튬 수입액 84.4%가 중국 몫이다. 같은 기간 코발트와 천연 흑연의 중국 비중은 각각 81.0%, 89.6%다. 2018년과 비교하면 5.9%포인트, 39.5%포인트, 27.9%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당장 내년부터 중국 소재를 최소화해야 하지만 반년도 안 남은 시점에서 절반 이상으로 낮추기는 불가능하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국내외 소비자는 보조금 등 각종 혜택을 보고 전기차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충전 인프라가 완벽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격 상승 및 혜택 축소가 이뤄진다면 전기차를 선택할 이유가 사라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도현
dobest@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