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루션

'지방에 만들면 더 싸요' 데이터센터 지방 유인책…"이대로는 역부족"

박세아 기자
데이터센터 [ⓒ연합뉴스]
데이터센터 [ⓒ연합뉴스]

[디지털데일리 박세아 기자] 그 어떤 산업군보다 전력을 대량으로 필요로 하는 데이터센터의 지방분산화가 시급해지고 있다. 대규모 발전소와 장거리 송전선로 중심의 기존 중앙집중식 전력시스템이 한계에 다다랐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데이터센터의 지방 설립에 공을 들이고 있고, 일부 성과도 들려온다. 하지만, 여전히 신설 계획 중인 데이터센터 약 10곳 중 8곳이 수도권에 집중된 상황이어서 우려가 제기된다.

2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국내 데이터센터의 전력수요는 2020년 말 1762메가와트(MW) 수준에서 2032년 7만7684MW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가운데 현재 전국에 구축된 데이터센터 가운데 약 60%가 수도권에 위치한다. 신설계획까지 합치면 오는 2029년까지 약 86%까지 수도권 집중 비율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수도권에서 필요한 전력 수준은 5만6149MW 정도다. 데이터센터 1곳당 평균 연간 전력 사용량이 25기가와트시(GWh) 수준임을 감안하면, 이 수치는 더 큰 우려를 낳는다. 25GWh는 4인 가구 6000세대가 쓰는 전력과 맞먹는다. 5만MW가 넘는 수치는 원전 40기가 돌아야 조달할 수 있는 수준이다.

현재 대부분 전기는 해안가에 위치한 대규모 발전소를 중심으로 장거리 송전선로를 지어 공급되는 구조다. 따라서 수도권에 데이터센터가 많을수록 장거리에서 전력을 실어 나를 송배전망과 발전선비 확충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수준으로는 향후 수도권에 전력을 원활히 공급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상황에 정부는 데이터센터의 지방 분산화를 위해 업계에 인센티브를 주는 등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고있다. 대표적으로 산업부는 '서울, 일부 경기 지역 외'에 신설되는 데이터센터에 전기 시설부담금 50% 할인을 주도록 하고있다. 지난 3월 말에는 5MW 이상 전기를 사용할 시, 전력 계통에 무리가 갈 경우 한국전력이 전기 공급을 거부할 수 있도록 전기사업법 시행령을 고쳤다.

이와 같은 정부의 유인책 영향으로 최근들어 지방의 대규모 데이터 센터 유치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경북 포항 블루밸리 산업단지, 전남 해남 솔라시도 데이터센터 파크 조성사업, 강원도 수열연계형 K클라우드 파크 조성 사업 등이다.

[ⓒ픽사베이]
[ⓒ픽사베이]

◆"데이터센터 유인책, 아직은 역부족"

이처럼 일부 성과가 들려오지만, 이와 같은 상황이 단발성으로 끝날 수도 있다는 불안감도 상존해 주목된다. 기업 입장에서 데이터센터를 선택할 때, 고품질 전력과 안정된 통신망 등을 갖춘 수도권 선호현상이 아직도 강한 데다, 현존하는 지역 데이터센터 유인책만으로는 데이터센터의 지방 이전을 가속화하기에 역부족이라는 평가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정부에서 지역 데이터센터 유인책을 속속 내놓고 있지만, 그럼에도 수도권에 남아있는 게 아직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분위기거 존재한다"라며 "수도권에 각종 인력과 서비스 등 자원이 집중돼있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기본 자원이 지방에 분산되지 않는 한 현재의 정책만으로는 매력도가 떨어진다"라고 말했다.

대표적으로 통신업의 경우만 봐도 데이터센터에 대한 인간의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인력이 많이 모인 수도권 선호 현상이 강한 분야 중 하나라는 설명이다.

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데이터센터는 기본적으로 부동산의 논리를 따라가는 구조다. 그동안 대도시 집중현상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이유"라며 "최근에서야 인공지능(AI) 수요 증가에 따라 데이터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지방분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됐지만, 향후 시설 매각 가능성까지 고려하면 수도권에 부지를 확보하는 게 유리하다"라고 말했다.

이에 지금과 같은 전기세 감면 정책에 더해 데이터센터 부지매입, 건립이나 운영 등에서 기업과 데이터센터 사업자의 비용 혜택이 더 커져야한다는 의견이다.

이와 함께 지역민들의 데이터센터 건립 반대도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아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최근 주민들이 데이터센터 건립에 필요한 특고압선에서 나오는 전자파나 건립시 소음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다수 기업의 데이터센터 설립 계획이 주역 주민 반대로 표류 중이다. 지역 주민들을 설득해야 하는 문제가 남아있는 것"이라며 "데이터센터가 들어설 때 지역민들이 받을 수 있는 혜택과 인식 개선을 위한 정책이 충분히 뒷받침돼야 한다"라고 말했다.

박세아 기자
seeall@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