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보험연구원 "보험업계, 내년 매출 254조원…올해 대비 2.6% ↑"

권유승 기자
조영현 보험연구원 금융시장분석실 실장이 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개최된 '2024년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 조찬 세미나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디지털데일리
조영현 보험연구원 금융시장분석실 실장이 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개최된 '2024년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 조찬 세미나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디지털데일리

-'2024년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 조찬 세미나 개최

-"생명보험‧손해보험, 각각 0.6%‧4.4% 증가 예상"

-"저축성보험 둔화에도 보장성보험‧퇴직연금 확대해 매출 견인"

-"투자이익 변동성 클 듯…건전성 관리 강화‧균형 성장 노력해야"

-"신채널 등장‧디지털 전환‧보험법률 개정 등 종합 방안 마련 필요"

[디지털데일리 권유승 기자] 내년 보험산업의 수입보험료 규모가 약 254조원으로 올해 대비 2.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저축성보험의 실적 둔화에도 보장성보험과 퇴직연금이 확대하면서 매출을 견인할 것이란 분석이다.

조영현 보험연구원 금융시장분석실 실장은 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개최된 '2024년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 조찬 세미나에서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이 각각 0.6%, 4.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조 실장은 생명보험 수입보험료는 질병‧건강보험과 퇴직연금의 성장으로, 손해보험 원수보험료는 장기‧일반손해보험과 퇴직연금 중심의 완만한 성장으로 각각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생명보험 개인보험 초회보험료의 경우 보장성보험과 일반저축성보험은 감소하고 변액저축성보험은 소폭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다. 반면 장기손해보험 초회보험료는 대부분 종목에서 완만한 증가가 예상된다.

보험계약마진(CSM)은 생명보험과 손해보험 모두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CSM은 보험계약을 통해 미래에 얻을 수 있는 미실현 이익을 현재가치로 평가한 값으로, 보험사의 장기 이익을 추산하는 지표로 쓰인다.

CSM 추세와 향후 초회보험료 전망 등을 고려할 때 생명보험의 CSM 규모는 올해 61조9000억원, 내년 69조9000억원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손해보험 CSM의 경우 올해 64조6000억원, 내년 67조9000억원 수준이다.

조 실장은 높은 CSM 성장률로 보험산업의 보험이익은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투자이익의 변동성은 높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 실장은 "긴축 통화정책이 시작된 작년부터 회사 간 수익성 편차가 확대되고 있는데, 고금리 지속으로 이러한 경향이 내년에도 지속될 수 있다"면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투자손익 관리 역량에 따라 회사의 이익 규모가 변동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지급여력비율이 낮은 회사일수록 자본성증권 의존도가 높고 수익성이 낮으며 투자손익의 잠재 변동성이 큰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는 거시적 충격으로 건전성이 낮은 회사의 유동성, 수익성, 건전성이 더 크게 악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균형 성장‧소비자신뢰 제고해야…보험법률 등 이슈 해결 노력도 필요"

조 실장은 보험시장의 높은 정보비대칭성에 기반한 공급・판매자의 전략으로 영업경쟁이 심화될수록 특정 보험상품 중심의 불균형 성장과 소비자신뢰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소비자니즈에 기반한 상품 및 서비스 제공 ▲새로운 보장위험 발굴 ▲해외사업 확대 등을 통해 보험산업의 균형 성장과 더불어 소비자신뢰를 제고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보험산업은 ▲신채널 등장 ▲디지털 전환 ▲보험법률 개정과 같은 현안 이슈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 실장은 제언했다.

신채널 등장에 대해선 "플랫폼의 보험상품비교추천서비스에 대응해 보험회사는 상품 혁신, 판매 전문성 강화를 통해 소비자와 긍정적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며 "당국은 보험상품비교추천서비스 시행에 따른 보험시장의 변화와 영향도 평가를 실시하며 제도를 보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 전환 관련해선 "보험산업의 디지털 전환 수준은 코로나19 이후 제고됐지만, 사업모형 전환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 고도화, 디지털 보험 활성화, 금융 소비자 보호 등 다양한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끝으로 조실장은 보험법률 개정 이슈에 대해 "실손보험 청구전산화는 사회적 편익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면서 "국회에서 진행 중인 보험사기방지 특별법 개정 작업도 신속하고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윤성훈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날 '2024년 경제・금융환경 전망'을 발표했다.

윤 연구위원은 "내년 세계경제 성장률은 올해 수준이 예상되지만 우리나라 경제는 소비 리밸런싱 마무리에 따른 재화 소비와 수출, 설비투자 소폭 증가로 다소 개선될 것"이라며 "우리나라 경제는 소폭 개선 전망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충격 이전의 균형보다 더 낮은 저성장으로 새로운 균형에 진입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내년 고물가・고금리로 인해 가계의 초과저축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는 보험수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권유승 기자
kys@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