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관출신' 김철주·이병래…양대 보험협회장 첫 과제는 '상생금융'

권유승 기자
김철주 신임 생보협회장(왼쪽)과 이병래 손보협회장 내정자. ⓒ생보협회·금융위원회
김철주 신임 생보협회장(왼쪽)과 이병래 손보협회장 내정자. ⓒ생보협회·금융위원회

-김철주 생보협회장 공식 선임…손보협회장에 이병래 공인회계사 부회장 내정

-보험업계 실적 상승에 상생금융 압박 우려…실손보험·차보험료 인하폭 고심

[디지털데일리 권유승 기자] 김철주 생명보험협회장이 이날 공식 선임된 데 이어 차기 손해보험협회장으로 이병래 한국공인회계사회 부회장이 내정됐다.

양대 보험협회장 자리에 모두 '관출신' 인물이 오르게 된 가운데, 보험업계의 목소리를 대변해야 할 과업을 지니고 있는 이들 앞에 놓인 첫 과제는 '상생금융'이 될 것으로 보인다.

상생금융은 보험업계의 최대 현안인 실손의료보험, 자동차보험과도 연관이 깊기 때문에 당장 역대급 실적을 기록하며 금융당국의 눈치를 살피고 있는 보험사들의 시급한 해결 과제로 꼽힌다.

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생명보험협회가 이날 임시총회를 개최하고 김철주 금융채권자조정위원회 위원장을 차기 회장으로 공식 선임했다.

행정고시 29회 출신인 김철주 신임 회장은 재무부 시절 경제협력국과 국제금융국을 지낸 이력이 있는 대표적인 관료 출신 인물이다. 2014년 기획재정부 기획조정실장을 거쳐 2016년 박근혜 정부에서는 청와대 경제수석실 경제금융비서관을 역임한 바 있다.

손해보험협회도 이날 차기 회장 후보로 이병래 한국공인회계사회 부회장을 단독으로 추천했다. 오는 20일 총회를 개최하고 제55대 협회장을 공식 선임할 계획이다.

이 내정자는 행정고시 32회 출신으로 금감독위원회 보험감독과장,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과장, 금융서비스 국장 등을 지냈다. 이후 금융정보분석원(FIU) 원장,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 한국예탁결제원 사장 등을 역임했다.

◆역대급 실적에 상생금융 압박 더 커질라…실손·차보험료 저울질

보험업계가 당국과 원활한 소통을 기대하며 내심 보험협회장으로 '관출신' 인사를 원해왔던 만큼, 새로 선임된 양대 보험협회장들이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만만치 않다.

우선 무엇보다 상생금융에 대한 보험업계의 입장을 대변해주길 원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은행권을 향한 윤석열 대통령의 작심 비판과 금융당국의 날선 눈초리가 상생금융이라는 명목으로 보험업계까지 번지고 있는 분위기여서다. 상생금융은 금융사의 초과 이익을 금융 취약계층에게 혜택으로 돌려주자는 것을 골자로 한다.

보험사 CEO들이 오는 6일 상생금융을 논의하기 위해 금융당국과 회동할 예정인 가운데, 보험업계가 3분기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상생금융의 압박을 피하기는 더 어려울 전망이다.

보험업계는 실적을 잣대로 상생금융을 실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입장이다. 올해 역대급 실적을 기록한 것은 새회계기준(IFRS17) 도입에 따른 일종의 실적 착시현상에 불과할 뿐, 실제 보험금을 거둔 수익은 많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상생금융에 적합한 상품을 만들기도 어렵다고 토로한다. 초장기 상품을 취급하는 보험업계 특성상 데이터가 쌓이지 않은 상황에서 섣불리 관련 상품을 만드는데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상생금융이 보험업계의 최대 현안인 실손의료보험과 자동차보험과 연관이 돼 있다는 점도 보험사들이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보험업계에서는 상생금융의 일환으로 실손의료보험과 자동차보험의 보험료를 내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데, 이들 보험은 모두 과거 적자에 시달리던 상품이라 보험료 조정폭에 대해 저울질을 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실제 삼성화재·현대해상·메리츠화재·KB손해보험 등 전체 손보사의 올해 상반기 실손보험 손해율은 121.2%로 지난해보다 2.3%p 상승했다. 특히 2017년 출시된 3세대 실손보험의 경우엔 올해 상반기 손해율이 156.5%에 달했다.

자동차보험 역시 제도 개선과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 등으로 흑자구간으로 돌아선 상황이지만 그간 만년 적자에 허덕였던 상품인 만큼 과도한 보험료 인하는 자제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보험업계에서는 말 그대로 상생금융이라고 할만 한 게 솔직히 없다"면서 "결국 연중부터 얘기가 나오던 자동차보험 등으로 상생금융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데, 지금 당장 손해율이 괜찮다고 무작정 보험료를 내리는 것도 장기적인 관점에선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권유승 기자
kys@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