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방송

이제 고체도 접는다…UNIST, 종이처럼 접는 메타물질 개발

백지영 기자
왼쪽부터 원형 제 1저자 진은지 연구원, 윗줄 왼쪽부터 이정혜 연구원, 강은영 초빙교수, 남주한 연구원, 조현수 연구원, 아랫줄 왼쪽부터 최원영 교수, 민승규 교수, 이인성 연구원 [ⓒ UNIST]
왼쪽부터 원형 제 1저자 진은지 연구원, 윗줄 왼쪽부터 이정혜 연구원, 강은영 초빙교수, 남주한 연구원, 조현수 연구원, 아랫줄 왼쪽부터 최원영 교수, 민승규 교수, 이인성 연구원 [ⓒ UNIST]

[디지털데일리 백지영 기자] 종이처럼 접을 수 있는 메타소재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분자 양자 컴퓨팅 등 특정 분야에서 물질의 새로운 응용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화학과 최원영 교수팀과 민승규 교수팀은 종이접기(Origami, 오리가미) 패턴을 기반으로 2차원 금속-유기 골격체(MOF)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또, 분자 수준까지 확인하기 어려웠던 종이접기 형식의 작동 원리 또한 관측했다.

최근 종이접기는 단순한 놀이 형태를 넘어 공학이나 건축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종이접기 작동 원리는 기술 분야로 확장돼 태양 전지 셀부터 의료 기기까지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종이접기 원리에서 영감을 받은 물질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으나 ‘분자 수준’의 물질 개발은 어려운 과제였다. 연구팀은 종이접기와 같은 변화가 가능한 골격체를 만들기 위해 금속 노드와 유기 리간드를 합성해 고체 물질에 유연성을 부여했다고 설명했다.

먼저 연구팀은 전파나 빛과 같은 파장인 X선의 회절현상을 측정해 제작된 2차원 금속-유기 골격체를 분석했다. 제작된 골격체는 온도 변화에 반응하며 종이접기와 같은 작동 원리를 보였다. 구조 변화에 따라 물질의 특성인 음성 푸아송비(NPR)의 특성도 발견했다. 푸아송비는 대부분의 물체가 젤리와 같이 수평으로 힘을 주면 수직으로 늘어나는데 반해 수직으로 줄어드는 특성을 보여주는 계수를 말한다.

연구팀은 특이한 현상의 주요 원인은 유연한 구조적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금속-유기 골격체의 내부 구조 배열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물질의 고유한 유연성이 종이접기와 같은 움직임을 가능케 했다. 이런 특성은 자연에서 찾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는 메타물질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다양한 신소재 개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제 1저자인 진은지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분자 수준에서의 종이접기 작동 원리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며, ‘종이접기 기반 금속-유기 골격체’라는 개념을 소개했다”며 “금속-유기 골격체의 움직임을 이해하고 기계 메타소재 분야에서의 잠재적인 응용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저명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이달 1일 온라인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NRF)의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미래수소원천기술개발사업,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SRC), 글로벌박사양성사업(GPF)과, 환경산업기술원(KEITI)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백지영 기자
jyp@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