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방송

“유튜브 논리빈약 콘텐츠, 뒷광고처럼 구분돼야”

강소현 기자
[Ⓒ 픽사베이]
[Ⓒ 픽사베이]

[디지털데일리 강소현기자] “유튜버 개개인의 담론 실천과 여론 확산에 영향력을 행사한 존재를 뒷광고처럼 명시하는 등 구독자들이 상황을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고민해봐야 합니다.”

이종명 성균관대학교 글로벌 융합학부 교수는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에서 진행된 50대 한국언론학회 간담회에서 최근 ‘망사용료 이슈’와 관련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자신을) 피해자로 위장한 담론 표출로 소비자에 굉장한 파급력을 행사한 사례”라며 이 같이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공정한 온라인 여론 형성 및 플랫폼 이용자 보호를 위한 정책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특히 최근 ‘망사용료 이슈’를 중심으로 글로벌 미디어 플랫폼이 올바른 담론을 생산하고 있는가 가 검토됐다.

앞서 댄 클랜시 트위치 대표는 지난해 12월 아마존이 운영하는 온라인 방송 플랫폼 트위치가 한국 서비스 종료를 발표하면서 한국의 높은 망 사용료를 이유로 서비스 유지가 어렵다고 밝혔다. 이후 해당 이슈는 테크 유튜버들을 중심으로 무분별하게 다뤄진 가운데, 이 교수는 저널리즘을 표방한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경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발제자로 나선 이 교수는 “유튜브 담론 실천의 문제는 하나하나 뜯어보면 유튜버들은 ‘속 시원한 정리’라 말하면서, 사실상 ‘속 편한 편들기’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라며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 플랫폼들은 (자신들의) 편을 드는 이야기를 자신들이 가진 무기인 여론 확산 능력과 구독자와의 끈끈한 관계를 통해 (여론을) 공고히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특히 이 교수는 최근 사회적 쟁점을 다룬 유튜브 콘텐츠에 대한 수용자들의 화답과 호응이 이전과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이들이 여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졌다고 말했다.

이 교수에 따르면 유튜브에서 ‘망사용료’를 검색하면 나오는 콘텐츠 가운데 상위 11개 콘텐츠를 분석한 결과, 콘텐츠와 댓글의 키워드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콘텐츠에선 ▲돈 ▲인터넷 ▲통신사 ▲망 ▲사용 등이, 구독자의 댓글에선 ▲통신사 ▲사용 ▲한국 ▲망 ▲기업 등이 언급됐다.

여론 형성에 대한 영향력이 커진 만큼, 구독자들이 상황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하는 방법을 제도도 마련돼야 한다고 그는 강조했다.

이 교수는 “유튜버와 구독자가 동기화되어 있다는 것은 연구 결과에서도 잘 드러난다"라며 "문제는 그들이 제목만 봐도 ‘이제 누가 매국노지?’ ‘여러분은 상관없을 것 같죠’ ‘내 이야기는 아닐거라고 생각하나요’ 등과 같은 방식으로 선동하면서, 겉으론 객관성을 표방하며 판단은 시청자에 맡기고 있다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유튜버 등 인플루언서에 대해 빅테크 기업들이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사회적 영향력을 측정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사실상 거의 불가능하다"라며 "뒷광고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여론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근간을 밝힌 방법에 대해 다같이 고민해봐야 할 것 같다"라고 제언했다.

강소현 기자
ksh@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