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글로벌 K-SW] 생존전략 된 SW 해외진출, SaaS화로 정부와 발맞춤 필요

이안나 기자

인공지능(AI)이 본격 산업화되면서 ICT 중심 수출실적 개선이 전망된다. 이에 정부와 산업계는 올해 국내 소프트웨어(SW) 해외 진출을 중점과제로 삼았다. 글로벌 SW 시장에서 국내 비중이 1~2%에 불과하단 점을 고려하면, 국내 기업에 해외 진출은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이 됐다. 디지털데일리는 SW기업 해외 진출 현황과 한계를 짚어보고, 올해 실질적 성과를 거두기 위한 사안을 검토·분석해본다. <편집자 주>

[ⓒ 픽사베이]
[ⓒ 픽사베이]

[디지털데일리 이안나기자] 전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과 디지털전환(DX)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소프트웨어(SW) 중요성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서 반도체에 이어 SW·IT서비스 등 디지털 분야가 수출시장 새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는 이유다. 생성형 AI와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확산은 SW 수출 가능성을 높인다.

SW 해외진출은 비단 국가 차원 산업 성장만을 위한 것은 아니다. 국내 SW기업들에 해외진출은 이제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넘어 생존을 위해 필수로 내다봐야 할 지향점이 됐다. 국내외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를 비교하면 기업활동을 내수시장에 국한했을 때 한계는 명확히 드러난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에 따르면 전세계 SW 시장 규모는 2022년 1조8767억달러(한화 약 2526조원)다. 지난해는 2조426억달러(2749조원), 올해는 2조2170억(2984조원)달러로 추산된다. 이는 패키지SW와 정보기술(IT)서비스, 게임SW가 모두 포함된 수치다.

이에 비해 국내 SW 시장 규모는 2022년 39조원에 그쳤다. 지난해 41조원, 올해 44조원으로 예상되며 점차 늘고 있긴 하지만 전세계 SW 시장에서 국내 비중은 매년 1%대에 머물고 있다. 이마저도 국내SW 시장에선 패키지SW·IT서비스에 비해 게임SW 비중이 절반 이상으로 높다. 전세계 SW시장에서 패키지SW·IT서비스 비중이 90%에 달하는 모습과 다른 양상이다.

아직 국내 SW산업 글로벌 위상은 미미한 수준인 셈이다. 국내 기업들이 경쟁력을 갖추고 지속 성장하기 위해선 해외시장으로 도전이 필수가 됐다. SW 해외진출에 있어선 클라우드 기반 SaaS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 패키지 유통이나 구축형(온프레미스)와 달리, 별도 하드웨어 설치가 필요 없고 원격 지원도 가능해 비용 효율적으로 사업을 확장할 수 있어서다.

세계 SW시장 규모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세계 SW시장 규모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국내 SW시장 규모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국내 SW시장 규모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이주완 메가존클라우드 대표는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진행한 현장 간담회에서 “국내에서 SaaS 기업들이 많이 늘곤 있지만, 글로벌로 진출한 국내 산업 생태계를 구성하기 위해선 아직 턱없이 부족한 레퍼런스”라며 “어떤 산업이 형성되기 위해선 개별기업 차원 투자도 필요하지만 정부 정책, 벤처캐피털(VC) 자본 투자 등이 선순환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 역시 올해 SW 산업 육성을 목표로 SaaS에 주목하고 있다. 올해 정부는 SW 산업 육성에 7308억원 규모 예산을 투입한다. SaaS 분야 스타트업이 안정적으로 시장에 정착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올해 민간과 함께 ‘SaaS 혁신펀드’ 사업을 처음 추진한다. AWS 등 마켓플레이스 진입 지원사업과 글로벌향 SaaS 기업 지원 방안도 담겼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2차관은 “국내 SW기업이 해외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해선 SaaS 전환이 필수적”이라며 “정부도 대한민국 SW산업 미래가 SaaS에 있다고 생각하고 SaaS 육성 및 기존 SW기업 SaaS 전환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2차관
강도현 과기정통부 2차관

과기정통부 산하 기관인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는 올해 중점과제 중 하나로 ‘글로벌 수출과 지역 디지털 혁신 지원’을 삼았다. 디지털 수출개척단을 확대·운영하기로 한 것.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도 SW 해외수출과 투자유치를 위한 글로벌네트워크 확대에 집중하기 위해 조직 내 글로벌사업본부를 확대 개편했다.

이전에도 국내 SW 기업 해외진출을 위한 정부·기관 지원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다만 올해는 어느 때보다 해외 진출 준비와 필요성이 높아진 만큼 실질적이고 전방위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단순히 유망한 사업계획서를 제출한 SW기업에 자금 지원하는 정도로는 높은 해외시장 장벽을 넘기 녹록지 않다.

SW업계서 수출 제도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도 필요하다. SW를 SaaS로 수출할 시 전략물자 수출 통제 적용 범위를 받는데, 아직 이에 대해 생소한 기업들이 존재한다. 미국은 2021년 조달 제품에 대한 ‘SW 자재명세서(S-BOM)’을 제출하도록 요구하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SW 라이센스 소송과 보안 위협 사례에 대응하기 위해선 필요한 과정이다.

국내에서 거쳐야 하는 수출제도와 현지 시장에 대한 문화, 법적·정책적 이해도 없이는 정부가 아무리 SW 해외진출을 지원한다 해도 기업들에 여러 걸림돌이 남아있을 수 있다. 해외진출 가이드라인 등 단계별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업계서 제기된다.

조준희 KOSA 협회장은 최근 현장 간담회서 “각 분야 패키지 업체 1, 2위 업체들이나 오랜 업력을 가진 곳들은 안정적인 구조를 갖췄다 보니 SaaS 전환을 주저하기도 한다”며 “국내 SW기업 SaaS 전환은 단순히 지원이 아니라, 생존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해외 투자를 하는 형태 정부 지원책으로 대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안나 기자
anna@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