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 호재·악재 뒤엉키면서 결국 제자리… 국내는 정책 변수 주목 [주간블록체인]
[디지털데일리 박기록기자] 결과적으로, 지난주 비트코인 시세의 박스권 탈출 기대를 모았던 미국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원회(FOMC)와 5월 CPI(소비자물가지수) 공개는 이렇다 할 변수가 되지 못했다.
17일 오후 1시(한국시간)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6만6172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1주전과 비교해 4.9% 하락한 수준이다. 이더리움도 3580.81 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역시 1주전과 비교해 2.75% 떨어진 수준이다.
같은 시각 김치 프리미엄이 1.6% 대에서 형성되고 있는 국내 비트코인 가격은 9300만원대로, 역시 지난주 9700만원을 잠시 돌파했던 것과 비교하면 5%이상 떨어진 가격에서 거래되고 있다.
지난주 미국의 5월 CPI가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고, 뒤이어 PPI(생산자물가지수)까지도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압력이 거세질 것이란 기대가 커지면서 비트코인이 7만 달러를 돌파하는 등 낙관론에 힘이 실리는 듯 했다.
그러나 미 연준이 공개한 6월 FOMC 점도표 상에 연내 금리 인하 횟수를 3회에서 1회로 축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어 금리인하에 인색한 미 연준내 매파(강경파)의 기조에 큰 변화가 없는 것이 확인되면서 증시 뿐만 아니라 암호화폐 시장도 냉각시켰다.
반면 비록 비트코인 가격이 박스권을 뚫지는 못했지만 통화정책의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속에도 하방경직성이 확인됐다는 점은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는 분석이다.
현재로선 '비트코인의 4월 반감기',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미 기준금리 통화정책 방향' 등 암호화폐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이슈는 올 상반기 다 나온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더리움을 포함한 주요 암호화폐의 가격 흐름이 비트코인과 동조화가 심화되고 있는데, 이는 제도권 금융시장에서 암호화폐가 점차 대체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이번주 미국 매크로 지표에 큰 영향을 줄만한 통계 발표는 없다. 다만 미 연준위원들의 통화정책 관련 발언이 제한되는 블랙아웃 기간이 지난 13일로 종료됨에 따라 이번 주부터 다시 금리 수준에 대한 강성 발언이 나올 수 있어 주목된다.
또 11월 대선을 앞두고 대선 후보들의 입씨름도 더욱 거세지고 있는데, 암호화폐 등 가상자산과 관련한 공약이 돌출될 지도 관심사다.
앞서 최근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이 직접 만든 소셜미디어 트루스를 통해 “비트코인 채굴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에 대한 마지막 방어선일 것”이라며 “남은 비트코인을 모두 ‘미국산(Made in USA)’으로 만들고 싶다”고 말해 주목을 끌었다.
특히 그는 나스닥에 상장된 암호화폐 채굴업체 클린스파크와 라이엇플랫폼스 등의 경영진을 만나 비트코인 채굴이 에너지 공급 안정화에 도움 되며 백악관에 들어가면 채굴업체들을 지지하겠다고 말해, 가상자산 업계를 술렁이게 했다.
한편 국내에선 22대 국회가 개원함에 따라, 가상자산 제도의 입법 및 기존 제도 보완을 위한 정비에 다시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오는 7월 19일 가상자산이용자 보호법이 시행될 경우 금융당국은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는 600여 개 가상자산 종목의 상장(거래지원)유지·폐지 여부 심사를 6개월 동안 진행한다. 이후에는 3개월마다 심사하면서 기준에 미달되는 종목은 퇴출 시킨다는 방침이다. 다만 비트코인 등 심사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해 거래가 어려워지는 문제를 방지하고자 대체 심사 방안을 도입한다.
현재 거래 중인 600여 개 가상자산 종목의 상장유지 여부를 심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가상자산 거래지원 모범 사례안을 확정해 가상자산이용자 보호법 시행과 함께 전 거래소에 적용할 수 있게 지원할 방침이다.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 금융당국에 신고된 국내 가상자산거래소는 첫 심사를 6개월 간의 기간을 두고 해야 한다. 이후에는 분기별로 심사를 하게 된다. 거래소들은 심사 후 문제 종목이 발견되면 ‘거래유의종목’으로 지정하고 거래지원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MBK, '국가핵심기술 기업' 해외매각 우려 여전히 쟁점… 고려아연 M&A, 정부 역할 필요↑
2024-12-22 19:52:35스트레스 완충자본 규제 유예… 한시름 놓은 은행권, 기업금융 고삐죌까
2024-12-22 14:06:20심각한 노인빈곤율…"면세자에 대한 환급형 세액공제 도입해야"
2024-12-22 12:38:24올해 정보보호 투자액 2조원 돌파…공시 의무화 효과 '톡톡'
2024-12-22 1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