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KB국민은행만 유독 IT비용·인력이 많은가?… "심각한 문제일 수 있다"는 전문가들 [DD인사이트]
[디지털데일리 박기록기자] KB국민은행이 지난해 정보기술(IT) 예산과 IT인력 등 핵심 지표에서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 다른 시중은행들보다 예상밖의 큰 규모차이를 보이자 이를 놓고 금융권의 해석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IT예산과 인력 규모가 월등하게 많은 것을 두고 '국민은행이 IT 투자에 더 적극적이기 때문에 아니겠느냐'는 긍정적인 시각도 없지않다.
하지만 오히려 그보다는 '심각한 IT 비효율의 문제일 수 있다'는 금융 IT전문가들의 견해 또한 적지않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KISA(한국인터넷진흥원) 정보보호공시 포털에 공개된 국민은행의 2023년 IT 집행 금액은 총 5685억원으로, 신한은행의 3788억원보다 1897억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은행의 IT 집행 금액이 신한은행 보다 무려 50% 가까이 많은 것이다.
같은 기간 우리은행의 경우 IT집행금액은 4083억원이다. 우리은행과 비교해서도 국민은행의 IT집행금액은 39.2%나 많다. 하나은행의 경우, 정보보호공시 포털에 별도로 IT 현황을 올리지 않았다.
앞서 국민은행의 지난 2022년 IT예산은 6072억원으로, 지난해 보다 387억원 더 많았다. 2022년에도 국내 은행권에서 가장 많은 규모였으며, 지난해에는 상생금융 등 비용충당 요인때문에 IT집행 금액이 예년보다는 다소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IT집행 금액의 격차는 왜 생겼을까.
국민은행과 경쟁 은행들간의 'IT 인력 규모'의 차이에서 비롯됐다는 것이 일반적인 분석이다. IT비용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실제로 2023년말 기준 국민은행의 IT인력은 1908명(보안인력 63명 포함)이다. 반면 신한은행은 1170명, 우리은행은 1020명이다. 국민은행의 IT인력이 신한은행, 우리은행에 비해 각각 38%, 46% 가량 많다.
◆국민은행 IT인력이 많은 이유?… "IT 인프라 구조가 근본적인 원인일 수도" 전문가들 뼈있는 지적
국민은행의 IT인력 규모가 다른 은행들에 비해 큰 이유에 대해 금융권 출신 IT전문가들은 다양한 해석을 내놓았다.
이와관련 전직 은행 CIO 출신인 A씨는 “다른 요인들을 따져봐야하겠지만 은행 IT인력의 범위(기준)을 어떻게 설정했는지에 따라 IT인력 규모에서 차이가 생길 수 있고, 만약 그게 아니라면 IT인프라의 혁신성에 따라 IT 인력 차이가 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서 국민은행의 ‘IT 인프라’는 계정계‧정보계 운영을 위한 ‘주전산시스템 운영체제(Core Banking)’를 말하는데, 이 환경에 따라 IT인력 운용 계획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된다는 의미다.
즉, 국민은행 특유의 IT 인프라 구조 때문에 자체 IT인력 비중을 낮추고 싶어도 그럴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에 처해있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같은기간 국민은행의 IT인력 비중은 11.40%로, 신한은행(7.61%), 우리은행 (8.83%)과 비교해 2~3%p 높은 수준이다. 은행의 업무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을 고려했을때 꽤 많은 격차다.
이같은 구조적인 문제는 국민은행의 주전산시스템 환경에서 출발한다.
국민은행은 현재 국내 은행권에서는 거의 유일하게 1990년대에 금융권에 풍미했던 ‘IBM 메인프레임’ 기반의 주전산시스템 환경을 여전히 가동중이다.
주전산시스템이 낙후됐다는 의미가 아니라 2000년대 이전 '안정성'을 중시했던 올드 타입이란 의미에서의 문제다. 자동차로 치면 기본 성능은 좋아도 연비까지 동시에 좋은 것은 아니라는 정도로 이해하면 쉽다.
반면 농협, 신한, 하나, 우리, 부산은행 등 대부분의 은행들은 지난 2010년을 전후해, IBM 또는 유니시스 메인프레임 환경에서 벗어나 유닉스(UNIX)기반 오픈환경 체제로 주전산시스템을 전환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IBM 메인프레임은 시스템의 안정성측면에선 여전히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한편으론 특유의 ‘폐쇄형’ 시스템이란 특징때문에 ‘벤더(Vendor) 종속성’이 크다는 점이 오랫동안 리스크 요인으로 지적돼왔다.
오픈 환경에 비해 업무 고도화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추가 개발시 주전산시스템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와관련 A씨는 “IBM 메인프레임 OS가 이제는 국내 금융권에서 희귀한 사례가 되다보니 관련 기술 전문가들이 없어지고, 이 때문에 국민은행이 외부에서 관련 개발 전문가를 쉽게 구하기도 힘든 상황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런 상황이라면 IT 개발시 외부 발주가 여의치 않을 것이고, 결국 국민은행이 자체 IT인력을 많이 확보하면서 갈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자체 IT인력을 많이 가져가야할 이유가 결국 IT집행비용의 고질적인 증대와 연결된다는 의미다.
결국 IBM 메인프레임 기반의 주전산시스템 환경에서 벗어나지 못한 과거의 선택이 현재의 국민은행 IT집행예산과 IT인력 구조의 비효율이 초래되고 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또 다른 은행의 IT본부에 재직하는 B씨는 “만약 10년전에 국민은행이 유닉스로 주전산시스템 전환을 결정했다면, 지금쯤 IT비용 절감을 위한 클라우드 환경 전환 등 선택이 훨씬 용이했을 것”이라면서 “어쩌면 그런점이 지금에 와서 아쉬울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국민은행이 현재 추진중인 '코어뱅킹 현대화 2단계' 사업에서 의미있는 성과가 나와야하지 않겠느냐”고 언급했다.
◆10년전, 국민은행 전산기종 둘러싼 'KB내분 사태'… 지금의 상황 초래
B씨가 언급한 10년전의 일이라면, 지난 2014년 3월 ‘국민은행 전산시스템 선정을 둘러싸고 촉발된 KB금융의 내분 사태를 의미한다.
당시 한국IBM 지사장이었던 셜리 위 추이 대표가 국민은행장에게 'IBM 메인프레임을 계속 써달라'는 취지의 메일을 보낸 것이 알려지면서 갈등이 촉발됐고, 다른 시중은행들처럼 유닉스 환경으로 전환해야한다는 입장을 내세웠던 임영록 회장측과 충돌하면서 결국 KB금융 내분 사태로 비화됐다.
논란 끝에 당시 임영록 KB금융 회장과 이건호 국민은행장이 모두 옷을 벗었고, 결국 그해 9월 윤종규 회장이 KB금융 회장으로 긴급투입되는 우여곡절이 있었다.
윤종규 회장은 ‘IBM 메인프레임’ 유지를 결정했고, 이후 상당기간 '국민은행 주전산시스템 선정'과 관련한 이슈는 KB금융그룹 내에서 사실상 금기어가 돼 버렸다.
그런데 은행권 IT전문가들은 이 시점이 국민은행이 유닉스 오픈환경으로 전환하기위해 마지막 '골든타임'이었다고 평가한다.
◆IBM 메인프레임 환경 탈피위한 국민은행의 선택은 당분간 '병행 운영'
… 성공 여부에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 금융계도 촉각
현재 국민은행은 지난해 7월부터 ‘코어뱅킹 현대화(Core Banking Modernization) 2단계’에 착수한 상태다.
기존 IBM 메인프레임 환경에서 가동되는 계정‧정보계 업무중 클라우드 환경 전환이 가능한 업무를 선정해 이를 단계적으로 전환하는 것이 이 사업의 핵심이다.
이를 위해 국민은행은 지난 2022년 3월, 영국의 코어뱅킹솔루션기업인 ‘소트머신(Thought Machine)’을 선정해 1년이 넘게 강도높은 사전 분석(PoC)를 진행해왔다. '소트머신'은 2014년 설립된 영국계 회사로, 클라우드 네이티브 코어뱅킹플랫폼인 '볼트'(Vault Core)를 로이드은행, 스탠다드차타드은행 등에 구현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국민은행은 이 x86기반의 ‘소트 머신’의 솔루션을 활용해 IBM 메인프레임 기반의 코어뱅킹과 '병행 운영'(Dual Banking)하는 방식으로 단계적으로 코어 업무를 이전해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국민은행은 이같은 병행 운영 방식을 통해 언젠가는 ‘IBM 메인프레임’ 환경에서 단계적으로 탈피해나가겠다는 전략이다.
예정대로라면 그 시점은 2027년쯤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 프로젝트가 반드시 성공한다는 보장이 없다는 데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병행 운영 방식이 시도됐던 사례가 단 한번도 없는데다 해외에서도 적용된 은행 사례가 있다 하더라도 국내 금융환경에 맞는지는 사실 의문이다. 여기에 현재의 기술 발전 속도와 AI 등 혁신 기술을 매칭시킨 기술 트렌드를 고려했을 때, 너무 불확실성이 큰 시간의 간극이다.
뿐만 아니라 국민은행과 같은 대형 은행이 메인프레임 환경에서 유닉스 전환 과정을 생략하고, 곧바로 클라우드 확장을 위한 x86/리눅스 환경으로 전환(M2L)하는 것은 세계적으로도 드문일로 평가받고 있다.
결국 국민은행은 단순히 차세대시스템 프로젝트가 아니라 보기보다 훨씬 큰 난제(?)에 도전하고 있는 것이다. 성공하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못하면 IT부문에서의 비효율 논란은 피할 수 없다.
* <본 기사는 디지털데일리가 오는 9월초 발간 예정인 '2024 디지털금융 혁신과 도전'에 수록될 예정이며, 편집 사정상 책 본문의 내용이 추가 업데이트될 수 있습니다.>
엘리스그룹, 지역 AI 교육에 열중…부울경 산업체 AI 포럼 개최
2024-12-12 10:18:37한동훈 “尹 탄핵 외 다른 방법 없어…국정운영서 즉각 배제돼야”
2024-12-12 10:11:49尹 “야당, 비상계엄 선포에 광란의 칼춤…당당히 맞서겠다”
2024-12-12 10:11:11출범 16년, '2024 IPTV의 날' 개최…경쟁력 강화방안 모색
2024-12-12 10:0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