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차별 개인정보 수집…미 FTC “페북‧유튜브 이용자 감시 도 넘어”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주변에서 쉽게 사용하는 소셜미디어(SNS)가 무차별적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하며 이용자를 과도하게 감시하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메타(페이스북‧인스타그램), 구글(유튜브), 틱톡, 트위치, 레딧, X(구 트위터), 스냅챗, 디스코드 등 9개 기업 13개 플랫폼의 이용자 데이터수집 및 사용방법에 대한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미 FTC는 “자율 규제는 실패했다”고 진단했다. 여러 소셜미디어가 미성년자를 포함한 이용자를 광범위하게 감시하고, 생각하는 것 이상 더 많은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공유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는 것이다. 이는 개인정보보호와 어린이의 온라인 안전 보호와 상충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FCT에 따르면 이들 기업이 데이터 브로커를 통해 개인정보를 구입하고, 다른 서비스에 연결된 계정에서도 정보를 수집했다. 주로 이용자 나이, 성별, 언어를 수집했고 교육, 소득, 결혼 상태에 대한 정보도 취득했다. 이용자 생각보다 민감정보를 더 오래 보관하는 사례도 있었다.
보고서를 보면, 조사 대상 플랫폼 대부분이 13세 미만 사용자 접근을 제한하는 정책을 채택했지만 실제로는 많은 어린이가 플랫폼에서 활동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청소년과 미성년자를 성인처럼 동일하게 개인정보 수집 대상으로 삼았다.
빅테크 플랫폼은 대부분 무료 서비스로 제공되는데, 특정 타깃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에 이용자 개인정보를 제공하며 매출을 창출하고 있다. 여기에 청소년을 포함한 개인정보도 포함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어린이와 청소년 보호에 실패한 만큼, 연령 제한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이번 보고서에서 각 기업별 조사 결과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빅테크 플랫폼에 대한 비판 수위를 높이며 법‧규제 강화 필요성을 시사했다. 리나 칸 FTC 위원장은 “감시 관행은 사람들의 사생활을 위험에 빠뜨리고, 자유를 위협하며, 신원 도용에서 스토킹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피해에 노출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조사 대상 기업들은 해명에 나섰다. 유튜브를 운영하는 구글은 “사람들의 개인정보를 판매하지 않고, 민감정보를 사용한 광고를 게재하지 않는다”며 “18세 미만 이용자는 물론, 어린이용 콘텐츠 시청자에게도 타깃광고를 노출하지 않는다”고 했다. 디스코드는 다른 플랫폼들과 묶어 일반화한 점을 지적하며 “공식적인 디지털 광고 서비스를 운영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K-디지털 트윈 서비스 수출모델 무엇?…디플정위, 결과보고회 개최
2024-12-27 23:34:34태국·사우디아라비아, 'K-OTT' 이용 의향 70~80% 이상
2024-12-27 21:14:53유상임 장관 "권한대행 탄핵은 내각 무력화"…야당의원과 '설전'까지
2024-12-27 20:54:47[오징어게임2 이펙트] "물 들어올 때 노 젓자"…LGU+, '핑크가드 팝업' 오픈
2024-12-27 17:4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