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국감 비상걸린 KB금융, 양종희 회장·이재근 행장 동시 소환… 부당해고 논란·홍콩ELS 등 현안 수두룩

강기훈 기자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KB금융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KB금융

[디지털데일리 강기훈 기자] 내달 7일부터 시작되는 2024년 국정감사에 대응하기위한 금융권의 움직임이 분주한 가운데, 국내 리딩금융인 KB금융지주에 초비상이 걸렸다.

양종희 KB금융 회장이 국회 환노위(환경노동위원회)와 정무위, 두 위원회에 핵심 증인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아졌기때문이다.

앞서 국회 환노위는 양 회장의 출석 사유로 '2023년 은행권 산재 1위기업, 콜센터 감정노동자 보호조치 미흡, 부당해고 논란'이며, 정무위에서는 현재까지는 이재근 KB국민은행장을 증인으로 요청한 가운데 '인도네시아 해외투자 손실'을 출석 사유로 들었다.

여기서 '인도네시아 해외투자 손실'이란 KB금융이 여전히 적자에서 허덕이고 있는 '인도네시아 KB뱅크(구 KB부코핀은행)가 겪고있는 부실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양종희 KB금융 회장이 금융지주 회장 중 유일하게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로부터 국정감사 출석을 요청 받았다. 국회법에 따르면, 국감 증인으로 채택됐을 시 특별한 사유가 있지 않는 이상 출석해야 한다.

30일 환노위 전체회의에서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KB금융 콜센터 상담 직원의 처우와 고용 안전 등 관련 문제를 지적하고자 양 회장을 증인으로 채택할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앞서 작년 11월 국민은행 콜센터의 상담 직원 240여 명이 한꺼번에 해고 통지를 받은 바 있다. AI 상담 서비스 도입 후 콜 수가 줄었다는 이유에서다.

올해 3월 열린 주주총회에서 양 회장은 "콜센터 상담 직원의 대부분은 용역업체 소속이고, 용역업체 소속에 대한 인사권 행사를 우리가 할 수 있는 게 현행법 상 없다"면서 "직원의 처우 개선 문제는 다시 한번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한편, 양 회장이 환노위에 이어 한 번 더 국감장에 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정무위원회 소속 위원들이 양 회장을 증인으로 채택해달라고 목소리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30일 개최된 정무위 전체회의에서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과 이석용 NH농협은행장이 증인으로 채택되며 소환 요구를 받았다. 전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 건과 불합리한 지배구조 건을 각각 묻기 위해서다. 이재근 국민은행장 또한 증인 명단에 있었으나 최종 의결 과정에서 빠졌다.

그러나 정무위원들은 국민은행이 인도네시아에서 투자 손실을 크게 입은 것과 관련해 양 회장에도 책임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이 행장 대신 양 회장에 국감장 출두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재근 국민은행장 ⓒKB국민은행
이재근 국민은행장 ⓒKB국민은행

관련하여 조승래 민주당 의원은 "KB국민은행의 투자 결정 문제와 관련해 최종 결정권자는 양 회장"이라며 "이 행장이 아닌 양 회장을 소환해달라"고 요청했다.

실제로 국민은행은 인도네시아에서 크게 부진하고 있다. KB뱅크의 연간 적자 규모는 2020년 434억원을 시작으로 작년 2613억원으로 집계됐다. 좀처럼 흑자 전환을 하지 못하고 지주사 이익에 기여는커녕 짐이 되고 있는 것이다.

양 회장이 두 위원회에 출석할 상황이 전개되자 KB금융은 비상이 걸렸다. 다만, 출석 여부나 구체적인 진행 상황에 관한 물음엔 말을 아꼈다.

KB금융 관계자는 "정무위와 환노위가 30일에 열렸던 만큼 아직 확정된 건 없다"고 말했다.

한편으론 이것과는 별개로, 국민은행이 국내 은행권에선 홍콩H지수 추종 주가연계증권(ELS) 판매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손실도 가장 크게 봤던 만큼, 해당 사안을 놓고도 양종희 회장 또는 이재근 은행장이 동시에 정무위에 소환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지금까지 국민은행은 약 8조1972억원 규모의 홍콩 ELS 상품을 투자자에게 판매했다. 홍콩H지수가 추락을 거듭하자 국민은행은 투자자들에게 배상하고자 올해에만 8620억원의 충당부채를 적립했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정무위에서 KB뱅크와 관해 양 회장을 소환할 예정이지만 분명 홍콩 ELS에 대해서도 질문이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며 "또 이 행장이 증인 명단에서 사라졌지만 추후 채택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강기훈 기자
kkh@ddaily.co.kr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디지털데일리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