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백과] 알쏭달쏭 제로트러스트, 정책결정지점 'PDP' 핵심
정보기술(IT) 영역에 관한 모든 지식을 압축해 풀이합니다. IT산업에 꼭 필요한 용어들을 소개하고, 살펴보면 좋을 쟁점들도 정리합니다. IT가 처음인 입문자라면 혹은 동향을 알고 싶은 전문가라면, 디지털데일리의 'IT백과'를 참고하세요. <편집자주>
[디지털데일리 김보민기자] 한국판 제로트러스트 가이드라인 2.0이 이달 베일을 벗었다. 첫 가이드라인 대비 성숙도 단계와 기업망 핵심 요소별 기능을 추가한 것이 핵심으로, 제로트러스트 도입을 고민하고 있는 조직에게 안내서가 될 전망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개념적 측면에서 접근해온 제로트러스트 방법론이 여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나온다. 구조(아키텍처) 측면에서 무엇이 필요한지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인데, 보안업계에서는 주축이 되는 '정책결정지점(Policy Decision Point·PDP)'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이 기본이라고 말한다.
제로트러스트는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에서도 위협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구간별 정책과 솔루션 등 보초병을 세우는 일종의 방법론이다. 기존 경계 기반 보안과 달리, 접근 주체에 대해 네트워크 혹은 물리적 위치 만으로 신뢰를 부여하지 않겠다는 것이 취지다. 내부 임직원들이 기업 데이터를 외부로 유출하지 않도록 하고, 특정 정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사전에 차단하는 것 또한 제로트러스트의 취지이기도 하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기업망 보안 담당자가 리소스 접근 과정에서 개별 제어를 통해 접근 승인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최종 접근 결정과 시행을 내리는 곳이 바로 PDP다. 논리적 구성 요소로 꾸려진 아키텍처 측면에서, PDP가 보초병 중 심판을 내리는 '대장' 역할을 하는 셈이다.
PDP는 정책엔진과 정책관리자로 나뉘어 작동한다. 정책 엔진은 입력 요소를 검토해 접근 주체 리소스에 대한 허용 여부를 최종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신뢰도 평가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기업망에 대한 정책과 다른 정보를 활용하기도 한다. 정책관리자는 주체와 리소스 간 통신 경로를 설정하거나 종료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세션을 최종 허락하거나 거부하는 결정은 정책 엔진에 의존한다.
다만 제로트러스트 아키텍처가 신경망처럼 얽혀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PDP 홀로 보안 체계를 완성할 수는 없다. 다양한 정책정보지점(Policy Information Point·PIP)을 갖추는 것이 시작이다. PIP는 접근 결정을 내리기 위해 정책 엔진에 입력하거나 정책 규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신뢰도 평가를 위한 데이터로는 사용자 아이디(ID)와 인증 상태, 네트워크 및 시스템 행위 로그, 위협 인텔리전스, 규제 및 내부 규정, 데이터 접근 정책, 보안정보및이벤트(SIEM) 시스템 등이 있다.
각 데이터 관리 영역에 특화된 국내 보안 기업들이 "자사 솔루션과 서비스로 제로트러스트를 완성할 수 있다"는 식의 마케팅 전략을 펼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PIP는 일종의 제로트러스트 아키텍처 요소로, 정책결정을 내리기 위한 핵심 재료다.
재료가 마련된 뒤 PDP 영역으로 넘어가기 전, '문지기'와 같은 정책시행지점(Policy Enforcement Point·PEP)를 거쳐갈 필요도 있다. PEP는 정책 관리자와 통신하며 접근 요청을 포워딩하고, 업데이트된 정책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PIP는 재료 제공자, PEP는 문지기, PDP는 보초병들의 심판 역할을 하는 셈이다. PIP가 제로트러스트 구현에 필요한 손과 발이 되어 준다면, PEP를 넘어 PDP는 정책 최종 결정권을 갖춘 머리라고 해석하는 이들도 있다.
업계에서는 궁극적으로 PDP 영역에서 보안 정책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려면, 조직 차원에서 PIP와 PEP 재료가 충분히 마련돼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이번 가이드라인을 필두로 내년 보안 컨설팅 사업에 관심을 보이는 기업이 늘어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다만 내년 경기 불황과 정국 변화가 예상되고 있어, 기대만큼 제로트러스트 추진력이 동력을 잃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관련 기관 및 업계에서는 미국을 중심으로 제로트러스트가 보안 트렌드로 떠오른 만큼, 한국 또한 흐름에 지속 동참할 가능성이 좋다는 데 의견이 모이는 분위기다.
‘가상화폐 상승열차’ 탄 트럼프 2기… 국내 시장 대응도 빨라진다
2025-01-29 08:29:55[IT백과] 양자역학 100주년…'퀀텀 유틸리티' 어디까지 왔나
2025-01-29 08:20:00'딥시크 쇼크'...中 저비용 AI 등장에 美 실리콘밸리 '휘청'
2025-01-28 11:04:44설 연휴 직후, 막오르는 농협금융 '이찬우 號'… 내부통제·실적 개선 시험대에
2025-01-28 11: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