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총 나선 정지영 현대백화점 대표 “신규점 프로젝트, 속도감 있게 추진”
[디지털데일리 왕진화 기자] “올해 100억원 이상의 중간 배당을 처음 시행하고, 오는 2027년까지 배당금 총액을 500억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각 부문별 사업 경쟁력 강화를 통해 3년 내 자기자본이익률(ROE) 6% 이상, 주가순자산비율(PBR) 0.4배 이상을 달성하겠습니다.”
정지영 현대백화점 대표는 26일 서울 강동구 우진빌딩에서 열린 제23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신규점 프로젝트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올해 7월 착공을 앞두고 있는 ‘더현대 광주’는 오는 2027년 광주광역시에 개점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2027년과 2028년에 각각 부산광역시 에코델타시티와 경북 경산시 지식산업지구에도 신규 출점을 계획하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또한, 오는 6월 충북 청주시 복합 터미널 내에 당사의 독자 브랜드인 ‘커넥트현대’를 지난해 부산광역시에 이어 선보일 예정이다.
정 대표는 “급변하는 시장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신규 점포 투자 및 압구정본점 등 주력 점포의 경쟁력 강화에 매진해 왔다”며 “특히, 더현대 서울은 국내를 넘어 전세계에 혁신적인 리테일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고, 중동점은 지난해 명품, 식품 등 대규모 리뉴얼을 통해 부천은 물론 경기 서부와 인천 상권까지 영향력을 확대했다”고 말했다.
이어 “면세점 부문은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해 사명을 ‘현대면세점’으로 변경했으며, 어려운 업황속에서도 지속적인 수익 실현에 힘쓰고 있다”며 “가구 제조 부문 ‘지누스’는 지난해 4분기 실적 턴어라운드를 실현했고, 올해부터는 본격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 더현대 서울, 판교점, 신촌점 등 주요 점포별 특색을 반영한 MD 개편과 공간 리뉴얼에 약 19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현대백화점은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ESG 경영 체계를 공고히 하고, 기업가치 제고에도 지속 나설 방침이다. 앞서 현대백화점은 지난해 11월 기업가치제고 계획을 발표하고, 자사주를 소각한 바 있다.
부실채권 늘고 연체율은 오르고… 은행권, 자산건전성 '경고등'
2025-03-30 09:30:06트럼프 2.0 시대, 건보·보건의료 정책 어떻게 변할까
2025-03-30 09:27:35CoinW, LaLiga와 함께 대만 및 홍콩에서 지역 파트너십 체결
2025-03-29 11:28:33도대체 겸직 몇 개?… 홈플러스 대표 MBK김광일 부회장, 이번엔 고려아연 이사진 합류
2025-03-29 10:15:21통신3사 IPTV 사업 성장률 1%대 돌입…AI로 추가 동력 모색 ‘잰걸음’
2025-03-29 10:14:04